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경사지 사료작물재배지 토양유지 방지기술 | ||
---|---|---|---|
분 류 | 조사료 > 재배이용 | ||
작 성 일 | 2016-09-19 | 조 회 수 | 5 |
자료출처 |
1.경사지 사료작물 재배지에서 초지 식생대 조성을 통한 토양유실 저감 기술 바로가기 |
조사료-재배이용 81. 경사지 사료작물재배지 토양유지 방지기술 |
||
|
|
|
1. 기술배경 ○ 우리나라 고랭지(표고 600m) 및 준 고랭지(표고 400~600m)면적은 73,971ha이며 강원도가 37,420ha로 32%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급경사지로 산림으로 조성(농진청, 2000) ○ 대관령지역의 년 간 강수량은 1,600mm이며, 토양유실량은 33.1톤/ha이 발생하는데 토양유실방지에는 일반작물보다 목초도입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임 ○ 농경지에서 유출되는 토사는 수질에 나쁜 영향을 미침 ○ 초지를 이용한 수변완충지역 설치는 유역관리를 위한 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술이며,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최적관리방법(BMPs) 임 |
||
|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고랭지 농업에 있어 토양유실에 관한 초생대 설치효과에 대한 자료는 있으나 사료작물 재배지에 대한 영농활용 자료는 없음 ○ 경사지, 도로법면, 토양 유실지, 하천구역 내 수변지, 나지 등 목초정착 불량지에 대해 토양유실방지를 위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임 나. 현장활용 기술 ○ 경사가 10% 미만인 사료작물 재배지에 초지 식생대를 10m이상 조성할 경우 토양유실량을 초생대 5m 설치 시 토양유실량(39.2톤/ha) 대비 54%(17.5톤/ha) 감소시킬 수 있음 ○ 초지식생대를 토양보전 및 경관개선용으로만 이용할 경우, 비료관리는 양호한 식생 조성을 위한 장착비료(밑거름)만 시용하고, 무시비 관리를 원칙으로 함 ○ 상수원보호지역 하천구역 내 사료작물 재배지와 수계 사이에 10m의 초지 수변 완충지대 설치를 통해 비점오염원인 질소, 인 유실을 각각 32%, 40% 저감 ○ 초생대 설치 길이별 토양유실량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경사지 사료작물을 재배지에 초지 식생대를 10m 이상 조성으로 토양 유실량 감소 ○ 목초매트 활용 경사지 절개지 법면 등 목초정착이 불량한 곳의 토양유실 방지 ○ 10m의 초지 수변완충지대 설치 시 유실되는 NO3-N의 농도를 약 32%, PO4-P의 농도를 약 40% 저감할 수 있음 ○ 초지를 이용한 수변완충지대는 경관개선 효과를 가져 새로운 어메니티 자원으로 활용가능 ○ 필요시 수변 완충지대의 초지를 예취하여 조사료자원으로 활용 가능 라. 핵심기술 용어 ○ 경사지 사료작물 재배지, 초지 식생대, 토양유실, 저감기술, 목초매트 |
||
|
|
|
3. 자료출처 ○ 경사지 사료작물 재배지에서 초지 식생대 조성을 통한 토양유실 저감 기술(2010, 영농활용기술, 정민웅) ○ 사료작물 재배지에서 초지 수변완충지대 조성을 통한 질소, 인 유실 저감 기술(2010, 영농활용기술, 정민웅) ○ 여름철 적정방목에 의한 초지식생유지 및 토양유실 방지(2004, 영농활용기술, 박남건)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