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실용기술모음

    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목, 분류, 작성일, 조회수, 자료출처, 내용으로 구성된 축산실용기술모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농산부산물 사료화 이용기술
    분 류 조사료 > 재배이용
    작 성 일 2016-09-19 조 회 수 10
    자료출처

    1.경관용 유채의 사일리지 제조 및 이용   바로가기
    2.고구마 줄기의 사일리지 제조   바로가기
    3.농업부산물 저장및 사료화 기술   바로가기
    4.더덕넝쿨의 가축(말) 사료화 이용   바로가기

    조사료-재배이용

      

    87. 농산부산물 사료화 이용기술

     

     

     

    1. 기술배경

      ○ 개화후 유채의 사료화, 고구마줄기 등 농산부산물은 조사료로서 활용할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농산부산물은 수분함량이 많아 볏짚, 밀짚, 밀기울, 보리짚, 비트펄프, 유산균 등 처리에 의한 사일리지로 이용하는 방법이 효과적임

     

     

     

    2. 영농활용 기술

     가. 축산현장 문제점

      ○ 농산부산물 들의 사료화 이용에 관한 자료가 미흡

     나. 현장활용 기술

      ○ 유채 개화기인 5월 중순~말경이 지나면 경관작물로써 기능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시기가 지나면(유숙기 이후) 유채를 수확하여 예건(24~48hr)한 다음 바로 곤포조제(젖산균 접종 필수)

      ○ 호숙기인 6월 중순이 지나면 예건 없이 바로 곤포조제(젖산균 접종 필수)

      ○ 고구마줄기는 비트펄프로 수분조절하면 TDN 67.2%의 양질사료가 가능함

      ○ 더덕넝쿨은 단백질, 가소화건물 함량 등이 목건초에 비해 떨어지지 않으며, Ca과 P 및 일부 미량광물질의 함량은 월등히 높아 사료로써의 가치가 우수함

      ○ 땅콩 및 콩 부산물은 볏짚 및 보릿짚을 첨가하여 담근먹이로 조제이용

      ○ 배추 및 무부산물은 비트펄프 및 밀기울을 첨가하여 담근먹이로 가능함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관광자원이나 식품조제 후 생산되는 농산부산물에 수분조절제와 유산균 첨가에 의해 양질의 조사료자원으로 활용 가능 기대

     라. 핵심기술 용어

      ○ 농산부산물, 유채대, 고구마줄기, 땅콩부산물, 배추, 무, 볏짚, 보리짚, 밀짚, 유산균, 사일리지제조

     

     

     

    3. 자료제출

      ○ 경관용 유채의 사일리지 제조 및 이용(2013, 영농활용기술, 최기춘)

      ○ 고구마 줄기의 사일리지 제조(2011, 영농활용기술, 김상민)

      ○ 더덕넝쿨의 가축(말) 사료화 이용(2004, 영농활용기술, 성필남)

      ○ 농업부산물 저장 및 사료화 기술(2001, 영농활용기술, 김원호)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5]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