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현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제공하는 축산실용기술모음입니다.
문의 :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063-238-7000
제 목 | 섬유질배합사료 조제시 사료용벼 사일리지의 호밀 대체효과 | ||
---|---|---|---|
분 류 | 조사료 > 재배이용 | ||
작 성 일 | 2016-09-19 | 조 회 수 | 12 |
자료출처 |
조사료-재배이용 97. 섬유질배합사료 조제시 사료용벼 사일리지의 호밀 대체효과 |
||
1. 기술배경 ○ 착유우 사료로서 호밀사일리지를 이용한 섬유질배합사료가 급여되어 왔음 ○ 최근 쌀 소비량 감소에 따라 벼 재배면적이 줄어듦에 따라 휴경논을 이용한 사료작물 재배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임 ○ 논에서 재배할 수 있는 최적 작물은 사료용 벼로 사료 가치 면에서 호밀보다 우수 ○ 따라서 사료용 벼 사일리지와 호밀사일리지의 급여효과가 필요함 |
||
2. 영농활용 기술 |
||
가. 축산현장 문제점 ○ 착유우에 대한 사료용 벼․호밀 사일리지의 급여효과에 대한 영농활용기술 미흡 |
||
나. 현장활용 기술 ○ 젖소 착유용 섬유질배합사료에 사료용 벼 사일리지의 호밀 대체로 산유량이 7% 증가함 ○ 젖소 착유우의 벼 사일리지 급여량은 16.7kg/두/일이며 호밀 사일리지 TMR보다 섭취량이 8% 증가함. ○ TMR 배합기의 용량이 적을 경우는 절단하여 배합하며 건조볏짚보다 부드러워 배합을 너무 오래하지 않도록 함 ○ 사료용 벼 사일리지의 적정 혼합 비율은 30~40%가 권장됨 ○ 섬유질 배합사료 배합비(kg/두/일)
○ 사료용 벼 위주 섬유질 배합사료 급여효과 다. 기술적용 파급효과 ○ 유량 증가(7%), 유지방 증가(0.2%), 사료섭취량 증가(8%) ○ 논을 활용한 조사료 생산 : ha당 약 20톤(건물 10~12톤) 생산가능 라. 핵심기술 용어 ○ 섬유질배합사료, 사료용벼 사일리지, 호밀사일리지, 대체효과 |
||
|
|
|
3. 자료출처 ○ 섬유질배합사료 조제시 사료용벼 사일리지의 호밀 대체효과(2005, 영농활용, 김종근)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