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소 ․ 작업자 안전관리, 미세 보정틀로 한 번에
    작 성 일 2023-08-24 조 회 1320
    첨부파일

    20230823_bodo.pdf (219KB) ( 다운횟수 177 )     다운로드     바로보기



     

    작업자 안전관리, 미세 보정틀로 한 번에

    - 개체 크기에 맞춘 맞춤형 보정틀 개발 머리, 몸통 따로 고정

    - 세밀한 번식 기술, 예방접종, 채혈 등 작업 효율 높아져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인공수정이나 수정란이식 등 세밀한 번식 기술을 요구하는 작업을 할 때, 소와 작업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소 맞춤형 미세보정틀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축산 현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의 머리 부분을 고정하는 자동 목걸이(스탠천)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머리만 고정하는 보정장치는 소가 갑자기 움직였을 때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소가 부상하는 상황을 유발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소 맞춤형 미세보정틀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 소의 머리와 몸통까지 개체의 크기에 맞춰 고정할 수 있도록 했다.

     

      미세보정틀은 크게 몸통 고정 장비와 머리 고정 장비로 나뉜다. 몸통 고정 장비는 기존 사육 틀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사육장 울타리 안쪽에 지지대를 세우고 바깥쪽에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소의 몸 양 측면을 고정한다.

     

      또한, 울타리 바깥쪽에서 수나사(볼트), 암나사(너트)를 맞물려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했다. 개체의 크기에 따라 1cm까지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머리 고정 장비는 기존 자동 목걸이 아랫부분을 개체의 머리 크기에 맞춰 조절하여 고정한다.

     

      농촌진흥청은 미세보정틀을 활용하면, 번식 기술뿐만 아니라, 예방접종, 채혈 등 우사 안에서의 작업 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예상했다.

     

      올해 상반기에 소 맞춤형 미세보정틀 특허출원을 완료했으며(출원번호 10-2023-0082810), 산업체에 기술이전을 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센터 최창용 센터장은 축산 현장에서 소의 보정은 작업자와 소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다.”라며 현장에서 촉발되는 위험한 상황을 최소화하고, 작업자와 소의 안전을 보호하는 데 미세보정틀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센터 이세영 농업연구사, 055-960-3531>


    제 1유형 출처표시
    제 1유형: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1유형[ 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