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 목 | 낙농 생산비와 소득의 산출은 어떻게 하나요? | ||
---|---|---|---|
작 성 일 | 2020.03.12 | 조 회 수 | 929 |
첨부파일 |
낙농 생산비와 소득의 산출은 어떻게 하나요.pdf (1282KB) ( 다운횟수 1445 ) 다운로드 바로보기 |
▣ 낙농경영
낙농농가는 낙농(우유, 번식, 비육우)을 생산하기 위하여 축사, 농기계, 사료, 동물약 품, 노동 등을 투입하고 경영활동(사육 및 판매)에 의해서 수입과 비용이 발생합니다.
▣ 수입, 비용 및 소득
가. 수입
수입은 원유, 송아지, 육우의 판매에 의해 출하체중과 품질, 출하시기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부산물 판매(구비 등), 보조금 등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나. 비용 : 경영비와 생산비
○ 경영비 : 외부에서 구입하여 투입된 일체의 비용 및 자가생산 농산물 중 재투입한 사료, 퇴비 등의 중간 생산물 평가액으로 구성됩니다.
○ 생산비 : 경영비에 기회비용 성격의 자가노력비, 자기자본용역비, 자기토지용역비 등을 합한 총 투입비용입니다.
다. 소득
○ 소 득 = 총수입(수량 × 단가 + 부산물 가액 + 보조금) - 경영비
○ 순수익 = 총수입(수량 × 단가 + 부산물 가액 + 보조금) - 생산비
※ 자가노동비, 자본용역비(자가), 토지용역비(자가)
- 당해 축산물을 생산함에 따라 다른 용도로 이용됨으로서 얻을 수 있었던 경제적 가치를 기회비용으로 평가한 것
- 자본용역비는 고정자본용역비(축사, 농기계 등)와 유동자본용역비(사료, 동물약품, 노동비 등)로 구분되기도 합니다.
▣ 산출방법
가. 비용 산출방법
○ 가축감가상각비
- 번식우, 착유우와 같이 송아지, 우유 등 생산물을 생산하는데 다년간 이용되는 가축은 고정자본재의 성격을 가지므로 내용연수의 경과에 따라 상각을 실시
○ 자가노동비
단가는 고용노동부 사업체 임금실태조사의 5∼29인 규모의 사업체(건설업·운수 업·제조업) 평균 임금단가를 또는 해당지역의 고용임금의 단가를 적용
○ 감가상각비(건물·구축물, 대농기구) : 취득가액/내용연수
산출시 건물·대농구의 잔존가액률은 0%이며 내용연수는 정부 농기계 보조지원의 거치, 상환기간을 이용하거나, 축산과학원 홈페이지에 게시된 축사로 사용자 매뉴얼 참조(http://chuksaro.nias.go.kr)
○ 자본용역비
금융기관의 차입 평균이자율 또는 5% 이자율을 자본평가액에 적용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