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투고 상세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성과년도, 성과적용일 제공
    논문명(한글) Polyampholyte의 닭 정원줄기세포 동결보존 효과
    논문명(영문) Polyampholyte의 닭 정원줄기세포 동결보존 효과
    성과주관부서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바이오유전체과
    품목코드 동물 유전자원 / 가축 유전자원 / 소가축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이재영
    성과년도 2013 성과적용일 2025년06월
    본 연구는 닭 정원줄기세포(spermatogonial stem cells, SSCs)의 동결보존에 있어 기존 동결보호제인DMSO(Dimethyl Sulfoxide)와 대체 동결보호제 Polyampholyte(PLL)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DMSO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동결보호제이지만, 세포 독성으로 인해 줄기세포의 장기 보존과 기능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PLL은 세포 독성이 적고 생존율을 높이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MSO(5, 10, 20%) 및 7.5% PLL을 사용해서 닭 정원줄기세포를 동결 보존하고, 융해 후 생존율, 세포자멸사, 콜로니 형성 및 줄기세포 고유 기능을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7.5% PLL 처리군은 DMSO 처리군(5, 10%)과 비교하여 닭 SSCs 생존율 및 세포자멸사에서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콜로니 형성은 passage 2~5에서 7.5% PLL 처리군이 DMSO 처리군 보다 유의적으로많았다(p<0.05). 또한, 7.5% PLL 처리군에서 동결융해 후에도 줄기세포의 고유 기능을 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PLL이 DMSO만큼 안전하고 효과적인 동결보호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가축 번식 기술 및 유전자원 보존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향후 연구에서는 닭의 원시생식세포(primordial germ cells, PGCs)를 대상으로 PLL의 동결보존 효과를 확장 적용함으로써, 유전자원 보존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