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투고 상세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성과년도, 성과적용일 제공
논문명(한글) |
시험견 소변의 보관 방법 및 기간에 따른 특성 변화 |
논문명(영문) |
Changes i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torage methodand period of dog urine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복지과 |
품목코드 |
축산 / 특수가축 / 개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이우도,장세연 |
성과년도 |
2025 |
성과적용일 |
2025년08월 |
본 연구는 시험견의 생체 시료인 소변 처리 및 보관 방법에 따라 pH, 질소 함량 및 생균수 변화 관찰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공시동물로 2017년 12월생 비글(12.42 kg) 1두를 사용하였으며, 특수 제작 대사 케이지(가로 110 cm,
세로 72 cm, 높이 79 cm)에 입식하여 1일간 소변을 전량 채취하였다. 이후 수집한 소변은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처리하
여 보관하였다: ① 냉장 보관(Refrigerated urine; RU), ② 냉동 보관(Frozen urine; FU), ③ pH 2 이하 조정 후 냉장
보관(Refrigerated urine with pH below 2; RU2), ④ pH 2 이하 조정 후 냉동 보관(Frozen urine with pH below
2; FU2). pH는 10% 황산을 혼합하여 조절하였으며, 각 보관 조건에 따라 4주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모든
처리구의 pH는 보관 2주까지 일정 수준 유지하였으나, 4주 보관한 시료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질소 함량은
처리 방법에 따라 변화 양상이 달랐으며, 그 중 RU2, FU2 시료는 4주 보관함에도 채취 당일 시료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p>0.05). 특히, pH를 조절하지 않은 냉장 보관 시료 RU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생물 수가 유의적으로 증
가하였다(p<0.01). 결론적으로, pH 2 이하로 조절한 소변은 미생물 증식 억제하고 특성을 유지하며 보다 장기간 보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안정적인 보관 방법 확립과 제안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 탐색 및 비교 연구와 반복적인 실험
수행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