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투고 상세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성과년도, 성과적용일 제공
    논문명(한글) 재래한우에서 OPU를 통한 채란시 난자 회수개수와 체외수정란 생산 간의 상관관계 분석
    논문명(영문) 재래한우에서 OPU를 통한 채란시 난자 회수개수와 체외수정란 생산 간의 상관관계 분석
    성과주관부서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 한우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이세영
    성과년도 2025 성과적용일 2025년09월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래한우인 칡소(brindle), 백우(white), 한우(brown) 품종에서 OPU(Ovum pick up) 및 IVP(In Vitro embryo Production)를 수행하고, 난자 회수 개수에 따른 난자품질 및 체외수정란 생산율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OPU-IVP 효율 증진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공란우는 정상적인 번식기능은 어려우나 난소기능에 문제가 없는 개체 12마리를 공시하였다. 2022년도부터 2024년도까지 3년간 총 88회의 OPU를 통한 채란을 실시하였다. 공란우는 세션당 평균 회수 난자 개수에 따라 세 그룹으로 구분하였다(G1:≥8개, G2:6-8개, G3:≤6개). (1) 세션당 최소 1개의 배반포가 발달된 비율은 G1 75.9%, G2 61.2, G3 53.5로 회수 난자수가 많을수록 배반포 발달 확률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1). (2) 회수 난자수에 따른 분할율은 G1 45.6%, G2 38.0, G3 23.3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1), 배반포 발달율은 G1 32.7%, G2 22.6, G3 13.9로, G1과 G3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3) 3개의 품종 모두 회수 난자수와 배반포 발생수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r = 0.45~0.5)를 보여, 품종에 관계없이 난자 회수 수가 많을수록 배반포 발달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회수 난자 개수와 Grade 1 난자의 출현비율은 약한 양의 상관관계(r=0.19)가 있지만,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재래한우의 OPU-IVP 기술 적용시 난자 회수량이 체외수정란 발달과 중요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난자 회수 잠재력이 높은 개체를 공란우로 선발함으로써 OPU-IVP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난소기능에 문제없는 번식장애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