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투고 상세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성과년도, 성과적용일 제공
| 논문명(한글) |
호흡챔버 기반 저지종과 홀스타인종 육성우의 장내발효 메탄 배출량 비교 연구 |
| 논문명(영문) |
Comparison of Enteric Methane Emissions Between Jersey and Holstein Heifers Using a Respiration Chamber System |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젖소 |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엄준식 |
| 성과년도 |
2023 |
성과적용일 |
2025년09월 |
국내 젖소 품종별 육성우의 장내발효 메탄 배출계수 산정을 위한 실측데이터 확보를 위해 1~2세 저지종과 홀스타인종의 메탄 배출량을 호흡챔버 기반 메탄 측정시스템으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저지(15.75 ± 3.77개월령, 체중: 264.19 ± 46.73 kg)와 홀스타인(15.50 ± 2.89개월령, 체중: 328.33 ± 82.86 kg) 각 4두는 적응기 2주와 호흡챔버에 투입하는 본 실험 1주로 3주간 2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으며, 본실험 전 호흡챔버별 메탄 회수율(97.74 ± 0.87 %)을 측정하였다. 메탄 배출량은 본 실험 기간 중 적응시간을 제외한 2~3일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급여사료(11 kg, 건물 기준)는 1일 2회(09:30, 16:30) 나누어 공급하였고, 물은 자유 섭취토록 하였다. 연구 결과, 체중(255.52 vs. 303.46, kg), 건물 섭취량(8.06 vs. 10.06, kg/day) 및 메탄 배출량(105.53 vs. 136.99, g/day)은 저지종보다 홀스타인종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 <0.05). 그러나 메탄 배출량을 체중 또는 건물 섭취량과 대비 분석 결과, 품종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05). 이번 연구 결과들은 향후 실측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저지종과 홀스타인종 육성우 메탄 배출계수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