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우리나라 국민 식성에 알맞은 육질과 향 지녀
농촌진흥청 개발 토종 “우리맛닭” 농가 보급
□ 토종닭을 이용, 우리나라 국민식성에 알맞은 육질과 향을 가진 닭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원장 이상진)이 국내 닭 유전자원을 기초로 우리나라 국민식성에 알맞은 육질과 향을 가진 ‘우리맛닭’ 종계를 농가에 기술 이전했다.
□ 토종닭은 우리나라 산업화 과정에서 외래종과 대부분 교잡되어 품종이나 계통으로 정립되지 못하고 소실된 상태였다.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은 1992년부터 전국에서 종자를 수집하며 15년간에 걸쳐 재래닭 품종복원사업을 진행하면서 복원된 닭 종자를 이용한 토종닭 개발 및 실용화 작업을 진행해 왔다.
□ 이번에 출시된 토종닭의 상표인 ‘우리맛닭’은 우리고유의 재래종과 국내 완전 토착화된 육질이 우수한 겸용 및 육용계통을 원종으로 개발한 것으로 고품질 토종닭으로 소비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강보석 박사는 “‘우리맛닭’은 쫄깃한 맛을 내는 콜라겐 성분과 필수아미노산이 육계에 비해 많다”며 “육계에 비해 생육기간이 다소 길지만 일반 재래종에 비해선 훨씬 기간이 짧고 몸집이 커 경제성도 갖췄다”고 설명했다.
□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은 올해 경남 창녕의 엘림농장(대표 김홍명)에 종계 1만2000수를 공급하면 엘림농장에서 연간 100만수 이상의 실용계를 생산, 농가에 분양할 수 있을 전망이다.
<참고자료>
농진청 개발 “우리맛닭”의 맛 특성 및 보급체계
□ 맛 특성 분석결과 요약
○ Oleic acid(18:1) 함량이 일반육계에 비해 높은데, 이 불포화지방산은 조리중 휘발성 육향을 발산해 관능적 후각(aroma)을 자극함
○ 일반육계에 비해 핵산관련 물질을 함유한 비단백태질소화합물(NPN)이 현저하게 높은데, 이 성분은 담백한 맛과 육향(flavor)의 원인으로 작용함
○ 영양적으로 중요하면서 맛 성분이 되는 필수아미노산이 고르게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성과 맛의 풍부성에서 우수
※ 단맛 = 라이신(필수), 세린, 알라닌 / 신맛 = 글루탐산 / 쓴맛 = 페닐알라닌(필수), 루이신(필수), 아이소루이신(필수)
○ 고기의 수분 보유력이 높아 씹을 때 다즙성과 연한 조직감을 느끼게 하고 전반적 기호성을 높이는 특성이 있음
□ 보급체계
▷
|
순계 (PL) (축산과학원보유) |
|
부․모계 (순계 1) |
|
부 계 (순계 2) |
|
모 계 (순계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종 계 (PS) (종계농장 분양) |
|
부 계 (육질형) |
|
|
모 계 (다산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실용계 (CC) (생산농가 보급) |
|
|
|
토종실용계 “우리맛닭” (3원교배종) |
|
|
|
※ 기술이전협약으로 분양받은 종계농장에서는 부계통과 모계통을 이용하여 3원 교배된 “우리맛닭:”을 생산하여 토종닭실용계 농장에 보급
□ 주요 경위
○ 토종닭은 우리나라의 산업화 과정에서 외래종과 대부분 교잡되어 품종이나 계통으로서 정립되지 못하고 소실된 상태였음
○ 축산과학원은 1992년도 전국에서 종자를 수집 품종복원에 착수하였고 동시에 산․학․관․연 공동으로 ‘재래닭고품질육용화사업’을 추진
○ 2008년도 초 15세대 검정 결과 3계통(황갈색, 적갈색, 흑색)이 토종닭 순계로서 정립되었음을 확신
□ 토종닭 출시의 의미와 보급계획
○ 품종 복원된 순계를 모본으로써 이로운 유전특성이 발현되도록 교잡시키면 다양한 종계가 만들어지고 여기에서 실용계가 양산되는데 금번 출시되는 “우리맛닭”이 제1호 실용계임
○ 금년도에는 12,000수의 종계를 기술이전하게 되는데 이 숫자는 100만수 이상의 실용계를 양산 보급할 수 있는 숫자임
※ 토종닭 “우리맛닭” 확대 보급계획
* 체계 : 순계 및 종계 생산(축산원) ⇒ 실용계 양산(기술이전업체) ⇒ 농가
* 실용계보급수 : (‘08) 100만수 → (’09) 300 → (‘12) 600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