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닭에서 달걀 만드는 세포 분리, 배양 기술 확립
    작 성 일 2021-09-29 조 회 1850
    첨부파일

    20210929_bodo.pdf (437KB) ( 다운횟수 241 )     다운로드     바로보기

    대표이미지

     

    닭에서 달걀 만드는 세포 분리, 배양 기술 확립

    - 바이오의약품 등 재조합단백질 대량 생산 연구에 도움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재조합단백질 생산 연구에 필요한 닭 난관팽대부의 상피세포를 분리하여 체외에서 배양하는 기술을 확립했다고 밝혔다.

    달걀이 만들어지는 난관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는 생식기관으로 난관채, 난관팽대부, 난관협부 3개의 부위로 나누어져 있다.

    특히 난관팽대부는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달걀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어 달걀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등 재조합단백질 대량 생산 연구에 핵심 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 닭 난관 상피세포는 닭에서 직접 세포를 분리해 연구에 이용하고 있는데, 그동안 분리와 배양이 원활하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진은 난관팽대부 내부 조직에 효소를 처리해 상피세포를 분리하여 체외 배양에 성공했다.

    기존에 사용하던 소 혈청이 아닌, 닭 혈청을 이용해 상피세포를 배양한 결과, 난관 조직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오브알부민의 발현을 확인했다. 이는 난관에서 분리한 상피세포가 체외 배양에서도 난관 조직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소 혈청이 포함된 배양액을 이용했을 때는 난관의 상피조직 유래세포보다 다른 세포가 빠르게 증식돼 닭 난관 상피세포만을 활용하기 어려웠다.

    이번에 확립한 닭 난관 상피세포 체외 배양 기술은 재조합단백질 대량 생산에 필요한 프로모터 개발 등 다양한 응용 연구에 직접 활용할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애니멀 바이오사이언스(Animal Bioscience)’ 20218월호에 게재됐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류재규 동물바이오공학과장은 이번에 확립한 닭 난관 상피세포의 분리와 체외 배양 기술은 달걀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등 재조합단백질 생산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동물바이오공학과 양현 농업연구사, 063-238-7273>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