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제주흑우’육지에 첫 발 내딛다
    작 성 일 2021-11-15 조 회 2150
    첨부파일

    20211115_bodo.pdf (305KB) ( 다운횟수 227 )     다운로드     바로보기

    대표이미지

     

    제주흑우육지에 첫 발 내딛다

    - 12, 경남 함양에 씨가축 2마리 보존제주도 외 첫 반출 -

     

     

      제주특별자치도에서만 사육되고 있던 제주흑우씨가축(종축) 2마리가 12일 육지에 첫 발을 내딛었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 국립축산과학원은 가축유전자원의 안전한 보존을 위해 경남 함양에 있는 가축유전자원센터에 제주흑우를 분산, 보존키로 했다고 밝혔다.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는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의 협조를 받아 처음으로 제주흑우 생축을 내륙으로 이송보존하게 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역 고유 재래가축인 제주흑우를 육성보존하기 위해 도외 반출을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이번 제주흑우의 반출은 생축(살아있는 가축)의 안전한 보존과 유전자원 동결 기술 고도화 연구를 위해 분산, 보존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뤄졌다.

     

      한편,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에서는 주요 축종(7축종)의 동결정액, 수정란 등 동결유전자원 31만여 점과 생축유전자원(5축종) 2,600여 마리를 보존관리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이성수 가축유전자원센터장은 처음으로 제주흑우를 육지에 보존하게 됐다. 소중한 가축유전자원인 제주흑우가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세심히 관리하겠다.”라고 말했다.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 김대철 원장은 제주흑우의 동결유전자원뿐만 아니라, 생축을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됐으며, 이번 분산, 보존으로 제주흑우 유전자원이 영구 보존될 수 있게 됐다.”라고 전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센터 김성우 농업연구사, 055-960-3531>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