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우리흑돈’ 유전적 차별성 과학적으로 밝혀
    작 성 일 2022-07-22 조 회 1904
    첨부파일

    20220720_bodo.pdf (462KB) ( 다운횟수 262 )     다운로드     바로보기

    대표이미지

     

    우리흑돈 유전적 차별성 과학적으로 밝혀

    - 독립적인 계통으로 확인 재래돼지 유래 육질 유전자 발견 -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2015년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개발한 흑돼지 우리흑돈이 재래돼지의 혈통을 이은 독립적인 계통임을 유전체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우리흑돈은 국내 흑돼지 시장 국산화를 이끌기 위해 국내 재래돼지와 자체 육성한 축진듀록을 활용해 개발한 계통으로 재래돼지의 육질을 가지면서 성장 능력도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연구진은 우리흑돈의 유전적 특성을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 계통 개발에 이용된 국내 재래돼지, 축진듀록, 교잡1세대(축진듀록×재래돼지), 교잡2세대(교잡1세대×축진듀록) 4개 집단과 우리흑돈의 유전체 정보를 이용해 집단 비교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우리흑돈은 다른 집단과 유전적으로 구분되어 고유의 집단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우리흑돈이 유전적 차별성을 가진 독립적인 계통이라는 과학적 근거가 된다.

     

      또한, 연구진은 우리흑돈9번 염색체에서 재래돼지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5개 유전체 영역을 찾았다.

     

      해당 영역에서 육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HSPA8’ 유전자를 확인함으로써 근내지방이 높고 향미가 뛰어난 우리흑돈의 육질 특성이 재래돼지에서 이어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제네틱스(Frontiers in Genetics, IF 4.772)’에 논문으로 게재되어 학술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았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조규호 과장은 이번 연구는 우리흑돈이 국내 재래돼지의 우수성을 물려받았다는 사실을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처음 밝혔다는 데 의의가 크다.”라며, “앞으로 우리흑돈의 개량과 새로운 계통 조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양돈과 조은석 농업연구사, 041-580-3457>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