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언론기관에 제공한 언론보도 자료입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보도자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자가 사료 먹이고 사육 기간 줄이니 한우농가 웃었다
    작 성 일 2022-07-28 조 회 2420
    첨부파일

    20220728_bodo.pdf (376KB) ( 다운횟수 374 )     다운로드     바로보기

    대표이미지

     

    자가 사료 먹이고 사육 기간 줄이니 한우농가 웃었다

    - 전국 17개 한우농가 시범 적용사료비 부담 덜고 소득 높여 -

     

     

      # 전남 함평에서 한우를 키우는 한종민 씨는 높은 사료비와 낮은 출하 성적으로 고민하다가 농식품 부산물 활용 자가 TMR 제조 기술비육 기간 단축 기술을 배워 농가에 적용했다. 그 결과 202187마리를 평균 27개월에 출하했으며, 육질 1++등급 출현율 52.9%, 육량 에이(A) 등급 출현율 48.3%라는 우수한 성적을 받았다. 한우 마리당 소득은 454만 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약 3배 높았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농식품 부산물을 활용해 농가에서 직접 만든 배합사료를 한우에게 먹이고, 비육(살찌우기) 기간을 줄이면 사료비가 절감돼 농가 소득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시범사업을 통해농식품 부산물 활용 자가 섬유질배합사료(이하 TMR) 제조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17개 농가, 한우 2,130마리를 대상으로 한우 비육기간 단축 기술을 새로 적용했다.

     

      그 결과, 시범사업 적용 한우 농가의 사료비는 일반 농가보다 9.2% 낮아졌고, 출하 월령은 2.6개월 짧은 28.2개월로 나타났다. 대상 농가의 평균 소득은 기술을 적용하지 않은 일반 농가보다 29% 높았다.

    농식품 부산물 활용 자가 TMR 제조 기술은 농가에서 한우 사양표준 사료배합 프로그램을 활용해 직접 농식품 부산물 원료를 선택하여 배합사료를 만드는 것이다. 이때 버섯부산물, 맥주박, 비지 등 저렴한 농식품 부산물을 원료로 이용하면 사료비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한우 비육기간 단축 기술은 육성기(614개월)와 비육기(1528개월)에 단백질과 에너지 함량을 정밀 조절하는 것이다. 사육 기간을 기존 31개월에서 28개월로 3개월 정도 줄이면서도 육량과 육질에는 차이가 없도록 하는 기술이다.

     

      국립축산과학원은 기술보급을 위해 지난 6~7월 전국한우협회,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와 공동으로 전국 230개 한우 농가를 대상으로 총 7회 교육을 진행했다.

    자가 TMR 제조 기술 교육 동영상은 농사로 누리집(www.nongsaro.go.kr 영농기술동영상 정보)에서 한우 자가 TMR 제조 길잡이로 검색하면 무료로 볼 수 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올해과채류 부산물 활용 기술자가 제조 TMR 원료 분석 기술을 시범사업으로 추진해자가 TMR 제조 기술확산을 위한 기반을 다질 방침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영양생리과 박남건 과장은최근 사료 가격 상승과 한우 사육 마릿수 증가로 인한 가격 하락이 우려되면서 농가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현재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술을 현장에 신속히 보급하겠다.”라고 밝혔다.

     

     

     

     

     

    <문의처 : 농촌진흥청 동물영양생리과 백열창 농업연구사, 063-238-7458>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