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자주하는질문 상세보기 표
    제 목 근내지방도 높은 씨 수소 선택방법
    작 성 일 2012.10.22 조 회 수 1467
    첨부파일

    "근친이 걸리지 않으며 거세를 하고 비육을 시켰을 시 등급이 잘 나올 수 있는 정액" 을 선택해 달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동안 교배된 암소를 모르는 상황에서 수소의 혈통자료 만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정액을 선택하기는 어렵다고 말씀드릴 수 밖에 없습니다.

    어떠한 한우 정액을 사용할 것인가는 농가의 사양 형태, 개량 목표 등에 따라 결정하셔야 합니다. 여기서 그 방법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간단히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교배할 암소의 아비의 정보로 근친위험이 가장 적은 정액을 선택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현재 판매하고 있는 한우 정액에 대한 정보를 구하셔야 합니다. 한우 정액에 대한 정보는 지역 농협(축협)으로 배포되고 있는 한우 정액에 대한 팜플렛, 또는 농협 한우개량사업소 → 씨수소 안내 → 씨수소 일람표(http://www.limc.co.kr/Home/bloodLine/KPNlist.asp)에서 씨수소 정보를 구하실 수 있습니다. '등급이 잘 나올 수 있는 정액'이라 하면 근내지방도의 값이 높은 정액을 구하시면 되겠습니다.

    그 다음으로 살펴볼 사항은 그 정액을 사용하였을 때 근친이 되었을까의 문제입니다. 그것은 한우개량사업소 → 씨수소 안내 → 씨수소 근친내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하려는 정액이 KPN379인데 암소의 아비(근친씨수소)가 KPN383이라면 태어날 송아지가 근친이 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사용하시려는 정액의 근친씨수소 목록에 암소의 아비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앞으로 태어날 송아지가 근친의 위험이 없다는 의미이므로 그 정액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개량은 선발(도태)과 교배로 이루어 지는데, 한우 농가에서 수행하는 선발(도태)이라면 농가의 목적에 맞지 않는 암소를 도태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 도태대상 암소는 농가에 따라서 육질 등급이 낮은 한우를 생산하는 암소, 질병이 잘 걸리는 암소, 평균체중보다 저체중인 암소 등 여러 가지 기준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은 농가의 개량 목표, 사양 형태 등에 따라 결정하셔야 합니다.

    이러한 작업을 편하게 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에서는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라는 책자를 만들어 배포하고 있습니다.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에서는 암소의 아비를 알고 있을 경우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정액과 교배시킬 경우 태어날 송아지의 능력과 근친여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국립축산과학원(www.nias.go.kr) → 축산마당 → 한우 → 개량에서는 교배계획길라잡이 엑셀프로그램을 보급하고 있어 편리하게 교배계획을 세우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5]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