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자주하는질문 상세보기 표
    제 목 한우 발정 후 하혈증상에 대하여
    작 성 일 2012.10.24 조 회 수 3238
    첨부파일

    □ 한우의 발정은 암소가 성성숙에 이르렀을 때 수소을 맞이하여 교미를 허용하는 성욕이 발현되는 것을 말하며 성성숙한 암소은 임신이 되지 않으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발정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한 발정기의 개시일로부터 다음 발정의 개시일 까지를 발정주기(estrus cycle)이라 합니다.

    □ 발정의 원인을 생식기와 관련시켜 찾는다면, 난소 속의 난포가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발달하게 되어 에스트로겐의 분비량이 급격히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난포가 더욱 발달하여 성숙한 그라프 난포(성숙난포)가 되면 뇌의 자극으로 파열되어 배란이 일어나게 되며, 배란 후 임신이 되지 않으면 황체는 일정기간 후 퇴행하게 되고, 이후 다음 난포가 발육하여 발정을 일으키고 그 간격이 일정하게 반복됩니다.

    □ 한우 암소의 발정주기는 발정전기, 발정기, 발정후기, 발정휴지기의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단계마다 확실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지속시간에도 차이가 존재합니다.

    □ 발정기 (estrus) - 발정기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GTH의 자극으로 최대로 발달된 난포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여성호르몬)의 작용으로 발정이 발현되어 수컷의 교미를 허용하는 기간입니다.

    - 발정기는 발정 지속시간이라고도 하며, 동물의 종간에는 물론이고, 같은 종내에서 개체간에도 변이의 폭이 크며, 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가축에서는 이 기간에 배란이 일어납니다.

    □ 발정후기 (metestrus) - 발정후기는 발정의 종료와 함께 개시되며, 동물의 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3일 정도 지속되며, 이 기간에는 배란된 파열난포로부터 황체가 형성되는 기간입니다.

    - 그러나, 발정기가 짧은 소(한우)는 이 기간에 배란이 일어납니다. 한편, 소에서는 발정후기에 외음부로 발정 후 출혈이 나타나는 개체가 많은데, 그 출현율은 처녀소에서는 90%에 이르고, 경산우에서는 45% 정도입니다.

    - 이러한 자궁내 출혈은 발정전기의 말기와 발정기에 급격히 증가된 에스트로겐의 작용으로 자궁내막의 혈관분포가 발정후기의 제1일째에 최고에 이르고, 이어서 배란에 따라 에스트로겐의 농도가 감소되면 증식된 혈관이 퇴행하는데, 퇴행하는 모세혈관의 일부가 파열되어 일어나는 출혈입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5]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