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제 목 | 한우 우사 냉난방과 생산성(번식효율) | ||
---|---|---|---|
작 성 일 | 2012.10.24 | 조 회 수 | 1585 |
첨부파일 |
기본적으로 소는 냉난방 시설이 필요한 가축이 아닙니다. 체표면적이 체중대비 돼지나 닭에 비해 작으므로 더위에는 민감하지만 추위에는 어느 정도 견디는 능력이 있습니다. 또한 털이 동절기에 보다 빽빽하고 조밀하게 발생하여 등지방에 관계없이 추위에 대한 대비를 합니다.
가축이 사료를 섭취하여 체조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생산활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적용되는 것이 생산 임계온도입니다. 일반적으로 성우의 임계온도는 영하 10도에서 영상 25도이고, 송아지는 영상 10도에서 25도로 성우는 25도 이상에서 더위 스트레스를 받으므로 더위경감에 많은 노력을 해야 하고, 송아지는 영상 10도 이하에서 추위에 대한 영향을 받으므로 별도의 송아지 공간을 마련하고 동절기에 보온등이나 발열판 등을 이용하여 보온장치를 마련해 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성우의 경우 동절기에 체중의 감소를 막으려면 사료량을 20%정도 증량하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무리 중에서 다른 개체에 비해 마른상태이거나 사료를 적게 먹는다면 별도로 관리해 주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특히 번식우는 계류식보다는 움직임이 많은 개방식우사가 좋으며 햇볕을 잘 받게 해주는 것이 번식효율에 좋습니다. 지금 사료급여량은 적절하며 볏짚을 두당 5㎏ 정도 충분히 주는 것이 적절합니다. 그리고 청초나 사료작물을 재배하여 양질의 조사료를 충분히 주면 농후사료 급여량을 1~2㎏정도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