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제 목 | 고급육생산 성장단계별 사료급여 방법 | ||
---|---|---|---|
작 성 일 | 2012.10.24 | 조 회 수 | 2774 |
첨부파일 |
가. 성장단계별 사양관리
1) 입식초기 사양관리
구입소는 수송전 수송스트레스 방지를 위하여 폐렴백신 접종과 항생제를 주사하여 수송에 의한 질병을 예방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입할 송아지는 장시간 수송을 피하고 가급적 청명한 날씨에 오전 중에 수송토록 한다. 또한 도착 후 격리된 장소에 수용하고 첫날은 따뜻한 물(여름은 시원한 물)과 양질건초를 급여하고 질병예방을 위하여 항생제를 주사한다.
도착 후부터 입식전용 배합사료를 체중의 1.0% 정도를 아침, 저녁으로 나누어 1~2주간에 걸쳐 적응시키고, 분상태를 살피면서 1일 0.5kg씩 증량해 목표량까지 증가시킨다.
보통 생후 3~4개월령(체중 100kg내외)에 구입한 송아지는 아직 이유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으며, 소화기관도 충분히 발달되지 못한 상태이므로 영양분이 풍부한 인공유나 육성비육 사료를 체중의 2% 정도로 급여하면서 양질 조사료를 자유채식시켜 6개월령(체중 160kg내외)까지 일당증체량이 0.7~0.8kg 정도 유지될 수 있도록 사양관리를 한다.
<표 1> 송아지 입식 후 사료급여 기준
월 령 구 분 |
1 | 2 | 3 | 4 | 5 | 6 | ||
---|---|---|---|---|---|---|---|---|
목 표 체 중 (kg) | 50 | 70 | 95 | 120 | 145 | 160 | ||
자 연 포 유 | o | o | o | o | - | - | ||
사 료 급여량 (kg/일) | 배합 사료 | 어린송아지 | 0.3 | 0.5 | 1.0 | 1.5 | 1.0 | |
육성비육 | - | - | - | 1.0 | 2.5 | 4.0 | ||
조사료 | 자 유 채 식 |
2) 육성기 사양관리
육성기는 6개월령부터 11개월령말까지를 말하며 이 시기는 뼈, 내장, 제1위 등 소화기관과 체성장이 활발할 때이므로 조단백질(CP) 함량이 14~15%이고, 가소화양분총량(TDN)이 70%정도이면서 비타민·무기물이 풍부하게 함유된 육성용 배합사료를 체중의 약 1.6%로 제한 급여하며, 양질 조사료를 자유채식 시킨다(표 2). 조사료의 질이 좋을 경우에는 체중의 1%까지로 제한 급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건초의 구입이 용이하지 않을 시에는 볏짚을 급여하되 배합사료보다 먼저 급여하여 조사료의 섭취량을 최대로 유도하여야 한다.
이 시기에 충분한 양의 조사료를 섭취하지 못하면 제 1위를 포함한 소화기관의 발달이 부진하여 비육기에 소화기 장애, 요석증 등과 같은 대사성 질병이 발생하기 쉽고, 비육후기에 사료 섭취량이 늘어나지 않으므로 증체가 둔화되어 목표 체중까지 사육할 수 없고 충분한 에너지 공급이 어려워 근내지방의 축적도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육성기에는 지나치게 살이 찌는 것을 막으면서 소화기관과 골격을 발달시켜 튼튼한 비육밑소로 키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배합사료는 제한 급여했는지, 조사료는 목표대로 먹었는지, 증체는 잘 되었는지, 환경관리는 잘 했는지, 소의 건강상태는 좋은지 등을 검토하여 목표에 미치지 못할 때에는 문제점과 원인을 분석, 개선하여야 한다.
<표 2> 거세한우 육성기 사료급여 기준
월 령 구 분 |
6 | 7 | 8 | 9 | 10 | 11 | |
---|---|---|---|---|---|---|---|
체 중 (㎏) | 160 | 181 | 202 | 223 | 245 | 268 | |
일당증체량 (㎏/일) | 0.7~0.8 | ||||||
사 료 급여량 (㎏/일) |
배합사료 | 2.6 | 2.9 | 3.2 | 3.5 | 3.8 | 4.2 |
건초 | 자유채식 |
- 양질의 건초를 자유채식, 조사료섭취량을 높여 반추위 발달 촉진
- TDN함량 70%의 배합사료를 체중의 1.6% 이내로 제한급여
3) 비육전기 사양관리
비육전기는 일반적으로 생후 12개월령부터 16개월령말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는 조사료 위주로 육성된 비육밑소가 본격적인 근육성장을 하면서 체지방도 함께 증가하는 기간으로 육성기 배합사료 제한급여에 따른 성장억제가 보상성장으로 이루어져 일당증체량이 증가하는 시기이다. 또한 성장호르몬의 성장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성장인자인 IGF-1의 혈중농도가 가장 높고 흉폭과 흉심의 성장이 가장 왕성한 시기이다. 따라서 이시기에는 조단백질(CP) 13~14%, 가소화양분총량(TDN)이 70~71%인 비육전기사료를 체중의 1.6에서 1.8%로 서서히 증가시켜 급여한다(표 3).
<표 3> 거세한우 비육전기 사료급여 기준
월 령 구 분 |
12 | 13 | 14 | 15 | 16 | |
---|---|---|---|---|---|---|
체 중(㎏) | 292 | 316 | 341 | 367 | 395 | |
일당증체량(㎏/일) | 0.8~0.9 | |||||
사 료 급여량 (㎏/일) |
배 합 사 료 | 4.7 | 5.2 | 6.0 | 6.8 | 7.5 |
조 사 료 |
건초 볏짚 |
1.6 2.1 | 1.0 2.1 | 1.0 2.1 | 2.2 | 2.0 |
- TDN함량 70-71%의 배합사료를 체중의 1.6-1.8% 수준에서 제한급여
4) 비육중기 사양관리
비육중기는 일반적으로 생후 17개월령부터 21개월령말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는 등심단면적 성장과 근내지방 축적이 가장 왕성하여 일당증체량이 가장 높은 시기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증체량을 너무 추구하여 과도하게 배합사료를 급여하게 되면 피하지방이 두꺼워지고 등심내 지방의 조기침착으로 등심단면적이 크지 못하는 부작용이 있으므로 조단백질(CP) 12~13%, 가소화양분총량(TDN)이 71~72%인 비육중기사료를 체중의 1.8%로 어느 정도 제한하여 급여한다(표 4). 이 시기는 근내지방 축적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반면 조사료 섭취량 감소와 배합사료 섭취량 증가로 대사성질병인 요석증과 같은 질병이 나타날 우려가 있으므로 1개월 간격으로 염화암모늄 20g을 4일간 연속 투여한다. 또한 청결한 급수관리로 음수량을 높혀 요석증을 예방하고, 발병시에는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잘 관찰하여야 한다.
<표 4> 거세한우 비육중기 사료급여 기준
월 령 구 분 |
17 | 18 | 19 | 20 | 21 | |
---|---|---|---|---|---|---|
체 중(㎏) | 425 | 455 | 483 | 510 | 536 | |
일당증체량(㎏/일) | 0.9~1.1 | |||||
사 료 급여량 (㎏/일) | 배합사료 | 8.0 | 8.4 | 8.6 | 9.0 | 9.3 |
볏짚 | 1.9 | 1.9 | 1.9 | 1.7 | 1.4 |
- TDN함량 71-72%의 배합사료를 체중의 1.7-1.9% 수준에서 제한급여
5) 비육후기 사양관리
비육후기는 생후 22개월령부터 출하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는 비육을 마무리하는 기간으로 근육 주위의 지방이 근육속으로 골고루 축적되어 육질이 개선되도록 고에너지(열량)사료로 조단백질 12%, 가소화양분 총량이 72~73%인 비육후기사료를 급여한다(표 5).
특히 이 시기는 급여사료의 종류에 따라 육질이 달라지므로 조사료는 최소한의 양(전 사료의 5-10%)만 제한적으로 급여하고 에너지함량이 많은 배합사료를 자유채식시켜 최대한 섭취량을 많게 하여 체중을 최대한 늘려야 근내지방도가 개선되어 좋은 육질등급을 받을 수 있다.
육질개선을 위해 보리를 공급하거나, 배합사료를 최대한 많이 먹을 수 있도록 사료급여 회수를 늘려주는 등의 적절한 사양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또한 조사료에 있어서 담근먹이나 청초를 급여하면 지방색이 황색으로 변하여 육질등급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볏짚 위주로 급여하도록 한다.
<표 5> 거세한우 비육후기 사료급여 기준
월 령 구 분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체 중(㎏) | 560 | 582 | 604 | 625 | 644 | 663 | 682 | 700 |
일당증체량(㎏/일) | 1.0 ~ 0.6 | |||||||
사 료 급여량 (㎏/일) | 배합사료 | 자유급여 | ||||||
볏짚 | 1.0 | 1.0 | 1.0 | 0.8 | 0.8 | 0.8 | 0.5 | 0.5 |
- TDN함량 72-73%의 배합사료를 자유채식
나. 적정 출하월령
앞에서 기술한 한우의 성장단계별 사양관리에 따라 사육하고 비육기간을 생후 29~30개월령으로 하여 출하 체중도 700kg 이상으로 높이면 배장근단면적이 넓어지고 근내지방도가 높아진다. 그러나 31개월령 이상으로 비육기간을 연장하면 도체형질의 추가적인 개선효과를 기대하지 못할 수 있으며 등지방두께와 같은 일부형질은 불리해 질 수 있다(표 6). 또한 본 시험에 적용한 사양체계는 육성기에 양질의 조사료 비율이 60% 가까이 되었기 때문에 29개월령 이후에도 지속적인 증체가 일어났지만 일반 한우 사육농가에서는 육성기에 50% 이상의 조사료를 급여하는 예가 많지 않다는 것을 고려하여 31개월령 이상의 장기비육은 일반 한우사육농가에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한우 농가의 수익을 생각할 때 적절한 출하시기 결정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고급육 사양관리 프로그램에 의하여 철저하게 관리 사육하였어도 출하시기 결정을 잘못하게 될 경우에는 앞에서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게 된다. 요즘에는 사료회사나 축협 등에서 초음파 서비스 지원을 해 주어서 농가에서도 출하시 초음파 성적을 참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전적으로 초음파 성적에만 의지하는 것보다 당시에 한우가 섭취하는 사료의 양과 일주일정도의 사료섭취 패턴을 보아서 함께 고려를 해 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한우의 사료섭취량이 건물기준으로 8kg(배합사료 기준으로 9kg) 이상을 꾸준히 섭취하고 있고 초음파 성적에 의해 등지방두께가 12mm 정도로 보이면 출하시기를 한 1개월 연기하는 것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육량등급이 떨어지는 것에 지나치게 주의하게 되면 1++ 등급 성적을 받기는 어렵게 되고 그만큼 수익에 있어서 불이익을 당하게 된다.
다. 비육기간 연장으로 인한 농후사료 위주의 사료급여 체계 부작용
반추가축은 반추위(제1, 2위) 내의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식물조직중의 섬유성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진화해 왔다. 그러나 현대축산의 발전에 따라 곡류 등 쉽게 발효되는 농후사료를 많이 급여하는 사양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대사장해 및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농후사료의 과잉급여(사료 내의 섬유소 부족)는 제1위 내에서의 급격한 발효와 그것에 동반된 젖산 농도의 상승, pH의 현저한 저하 등을 일으키고, 가축의 사료섭취 저하 및 설사, 제1위염과 제1위 점막상피의 탈락 등의 증상이 확인되었다. 심각한 경우에는 체액성의 과산증이 유발하여 사망하는 경우도 있으며 만성적으로는 사료 내의 섬유소부족에 의해 제1위 부전각화증, 간농양 등의 장해가 발생한다
반추동물은 제 1위내에서 탄수화물의 발효에 의해 휘발성지방산이 다량 생성되어 휘발성지방산의 산도(pH4.8)에 의해서 1위내 pH가 낮아지고, 섬유소분해 박테리아(cellulolytic bacteria)가 사멸하는 문제와 제 1위벽에 병증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제 1위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반추위의 pH를 중성으로 유지하는 것은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반추동물은 알칼리성인 타액을 1일 98~190ℓ나 되는 양을 분비함으로서 침에 함유된 중탄산염에 의하여 반추위의 pH가 산성으로 되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조사료를 알맞게 급여하면 저작과 반추시간이 연장되기 때문에 타액분비량의 증가로 산의 중화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반면 다량의 농후사료와 작은입자로 분쇄된 조사료는 사료섭취시간은 물론하고 반추시간도 짧아지기 때문에 침분비량도 적어서 완충능력도 낮아진다.
제 1위내 pH가 낮아지면서 산에 약한 미생물은 소멸하기 때문에 특히 섬유소분해박테리아의 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휘발성지방산의 조성도 달라지고, 미생물단백질의 합성량도 줄어드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반추위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분해, 합성과정의 적정 pH는 다음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성 또는 약산성이다. 따라서 1일 2회 급여시 pH가 일시적으로 5.5이하로 떨어지는 동안에는 각종 반추위내 대사과정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게 된다.
<표 7> 반추위내 각 반응에 요구되는 적정 pH 범위
효 소 반 응 | 적정 pH 범위 |
---|---|
Cellulose 소화 | 6.0~6.8 |
VFA 생성 | 6.2~6.6 |
단백질 합성 | 6.3~7.4 |
단백질 분해 | 6.5~7.0 |
Urea 분해 | 7~9 |
Lactate 발효 | 5.9~6.2 |
암모니아 생산 | 6.2 이상 |
암모니아 이용 | 5.7~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