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자주하는질문 상세보기 표
    제 목 한우정액의 등급결정과 가격에 대한 궁금증
    작 성 일 2012.10.24 조 회 수 2800
    첨부파일

     

    질문1 : 한우정액의 등급이 어떻게 매겨지는지?


    답변 : 정액의 등급은 선발지수상 상위 50%, 25%, 25%로 가장 비싼 정액부터 싼 정액 순으로 설정됩니다.


      선발지수는 등심단면적의 유전능력, 등지방두께의 유전능력, 그리고 근내지방도의 유전능력을 토대로 작성합니다. 이때 등심단면적은 단위가 제곱cm, 등지방두께는 mm, 근내지방도는 점 이므로 이를 직접 비교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들의 단위를 없애고 분포가 동일하게 되도록 표준화 절차를 수행합니다.


    이렇게 표준화 한 값을 가지고 선발지수를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보증씨수소 선발지수 = 1.0×(등심단면적의 표준화육종가)

                        -1.0×(등지방두께의 표준화육종가)

                        +6.0×(근내지방도의 표준화육종가)


    이렇게 구한 선발지수를 가지고 현재 활동중인 보증씨수소의 서열을 작성하고 각 등급 비율에 따라 정액을 구분합니다. 즉, 보증씨수소 선발지수 상위 50%는 7500원 짜리 정액이 되는 것입니다.



    질문2 : 내 소에 정확하게 맞는 정액을 알 수 있는지?


    답변: 내 소에 맞는다는 것은 두가지 정보가 필요합니다.


      우선 내 소의 능력을 알아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능력을 알려면 능력검정을 실시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생시체중, 12개월령체중, 초음파 측정, 번식기록 등을 잘 기록하여 놓고 이를 평가하여 암소의 능력을 알야야 합니다.


      능력측정은 정해진 방법과 규칙을 따라야 합니다. 예를 들어 12개월령 체중을 잰다고 각 개체별 생일을 파악하여 365일이 될 때 체중을 측정하는 것과 같이 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관리를 받는 개체를 모아서 그 모인 개체들의 평균 일령이 365일이 되는 시점에 측정하는 것과 같은 방법이 필요합니다.


      초음파 측정역시 아무때나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축군의 평균이 12개월에 도달했을 때 축군에 속해 있는 모든 개체의 초음파 측정을 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물론 암소의 경우 출하한 자손의 도축성적을 모아서 이를 평가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에도 도축월령이 동일한 것이 도움이 많이 됩니다.


      만약 도축월령이 다르다면 처리하기가 어려워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암소의 능력을 알고 있다고 하면 농장의 개량목표가 있어야 합니다. 딸에게 알맞은 사위감을 얻는다고 생각할 때, 만약 딸이 키가 작아 키 큰 사위를 얻고자 한다면 무의식적으로 손자의 키가 커야 한다는 목표가 있기 때문에 사위의 키가 커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습니다.


      내 농장의 소는 자고로 이러한 능력은 되어야 한다는 목표가 있다면 현재 암소의 능력을 알고 있으므로 정액은 어떤 능력의 씨수소의 것으로 선택해야 하는지가 나오는 것입니다.


      즉, 암소의 능력의 파악과 개량목표 설정이 되면 그것에 맞는 정액을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목표가 너무 높다면 알맞는 정액이 없을 수 있습니다.



    질문3 : 개량이 된 우군과 되지 않은 우군의 등급(육질등급)


           예를들어 1++과 1+ 의 퍼센트를 알수 있는 자료가 있는지


    답변 : 현재는 없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농가의 성적을 모두 수집하고 있지 않고 또한 출하자와 사육자가 다른 경우도 많기 때문에 단순히 도축성적만 가지고 통계를 내는 것도 어렵습니다. 또한 비육우의 경우 혈통이 없는 경우도 너무 많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기란 불가능합니다.


      만약 선생님께서 속한 조합이나 브랜드에서 모든 기록을 관리하고 있다면 출하성적을 분석하여 농장별 평균능력이나 층이 나는 정도 등을 알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경기도 포천의 한창목장 사장님과 같은 경우에는 모든 성적을 관리하시고 분석을 하시기 때문에 개량된 농가와 그렇지 않은 농가에 대한 성적비교가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저희가 그러한 자료를 수집하여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질문 4 : 6계대 정도의 번식우를 사육하고 있는데 농림부에서 자료를 주신것에는 3계대 정도밖에 근친이나 개량에 정보를 볼 수가 없습니다.


    답변 : 보증씨수소의 혈통도 한국종축개량협회 홈페이지(www.aiak.or.kr)를 통해 검색하시면 끝까지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농협에서 제공하는 리플렛에는 혈통을 전부 다 표시하기가 어려워 3대까지만 표기 하고 있음을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표준화 육종가란?


    "각 형질별 육종가의 단위와 분포를 통일시켜 형질을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만든 육종가"


      예를 들어 어떤 개체의 도체중 육종가가 5.0이 나왔고, 근내지방도 육종가가 0.5가 나왔다고 하면 이 값을 가지고 그냥 5.0이 0.5보다 크다고 해서 이 개체는 근내지방도보다 도체중이 월등히 우수하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왜냐하면 도체중은 단위가 kg이고 근내지방도의 단위는 그냥 점수이기 때문에 이는 마치 키와 몸무게를 그냥 비교하는 것과 같게 된다. 따라서 이의 단위를 없애고 1:1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표준화이다.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5.0과 0.5를 표준화 했더니 모두 그 값이 1.0으로 나왔다. 즉 도체중과 근내지방도 성적 모두 상위 15.9%에 속하여 비록 육종가 숫자상으로는 5.0과 0.5로 나왔지만 동일한 성적임을 알 수 있다. 만약 근내지방도의 표준값이 2.0이 나왔다면 이는 상위 2.3%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다(아래 표 참조).


    평균도체중 및 평균 근내지방도


    ※ 계산방법: 표준화 육종가 = (육종가-육종가평균)/육종가표준편차


    위의 예에서는 도체중 육종가평균이 0kg이고 육종가표준편차가 5kg라고 하면


    도체중의 표준화육종가 = (5kg-0kg)/5kg = 1.0 (단위없음)


    위의 예에서는 도체중 육종가평균이 0이고 육종가표준편차가 0.5라고 하면


    근내지방도의 표준화육종가 = (0.5-0)/0.5 = 1.0


    Table 1. 표준화 육종가
    구 분 표준화 육종가
    -3.0 -2.5 -2.0 -1.5 -1.0 -0.5 0.0 0.5 1.0 1.5 2.0 2.5 3.0
    누적 백분위수 (오름차순, %) 0.1 0.6 2.3 6.7 15.9 30.8 50.0 69.2 84.1 93.3 97.7 99.4 99.9
    누적 백분위수 (내림차순, %) 99.9 99.4 97.7 93.3 84.1 69.2 50.0 30.8 15.9 6.7 2.3 0.6 0.1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5]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