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자주하는질문 상세보기 표
    제 목 소의 장독혈증
    작 성 일 2012.10.24 조 회 수 3261
    첨부파일

    장독혈증은 장관내에서 장독혈증균이 과다증식하여 생성된 독소에 의한 괴서성 출혈성 병변이 생기는 중독증으로 급성의 경향을 보입니다. 주증상은 설사, 경련, 마비, 쇠약 등을 나타냅니다. 원인균은 Clostridium perfringens이며 독소가 원인입니다. 이 균은 토양이나 동물의 장관속에 존재하며 성우보다 송아지에 발생이 더 많습니다. 부검소견은 복막, 횡격막, 복강근육에 출혈반이 나타나고 장의 충혈 및 출혈성 염증이 나타납니다.

    확진을 위해서라면 분변에서 병원균을 분리동정하여야 하지만 여건이 안될 것 같습니다. 사료가 의심스럽다고 하셨는데요.. 지난번 답변처럼 동일사료를 먹이는 다른 농장의 증상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부패된 사료에 인한 가능성의 유무는 글로 답변드리는 성격상 판단하기 어렵다는 점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장독혈증균은 사료에 혼입되어 감염될 수 있지만 그것보다는 감염된 가축의 설사균을 통해 다른 소에게 전염되는 경우가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요즘 신종플루처럼 전파력이 매우 높은 편은 아니고 소의 연령, 면역력, 발육 등에 의해 감염과 증상발현 유무는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병명은 장독혈증이고 동일증상으로 집단폐사가 되었기 때문에 또 다시 같은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1. 축사 소독을 철저히 하시기 바랍니다. 축사내에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 무수히 많이 존재합니다. 장독혈증 원인균도 설사를 통해 축사내에 상재되어 있습니다. 크레졸, 구연산, 생석회, 차아연소산 나트륨 등 축사소독제를 사용법에 따라 소독하여 상재된 병원균을 사멸시켜야 합니다.

    2. 설사증상을 보이는 개체는 격리수용하여 질병이 전파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3. 환축의 관찰과 치료는 조기에 실시하여야 하며 가급적 전문수의사의 진단과 처방을 받기 권장합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5]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