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자주하는질문 상세보기 표
    제 목 양계사료에 온도(날씨)에 따라 석회 급여량의 변화가 있는지
    작 성 일 2012.10.24 조 회 수 4605
    첨부파일

    우선 석회라는 단어를 정의하면, 석회는 생석회(산화칼슘)과 소석회(수산화칼슘)을 통칭해서 부르거나, 석회석(탄산칼슘)을 칭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석회석의 매장량이 많아 일반적으로는 석회석을 분말로 해서 사용합니다.

    석회석 분말은 탄산칼슘이 주성분으로 양계사료의 중요한 칼슘공급제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석회석의 산지에 따라 칼슘의 함량이 차이가 나지만 35~40%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닭의 칼슘요구량은 특히, 산란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므로, 일반 갈색종 산란계의 예를 들어서 한국사양표준(가금)에서는

    병아리 시기(0~16주) : 약 1%

    산란전 (16주~1%) : 2.2%

    산란초기 (1%~32주) : 3.7%,

    산란중기 (32~45주) : 3.8%,

    산란후기 (45~55주) : 3.9%,

    산란말기 (55주 이후) : 4.0%로

    주령이 많아질수록 칼슘 요구량이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계란이 커져 그만큼의 계란 껍질이 만들어지기 위해서 더 많은 칼슘이 필요하게 된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시기가 쉽겠습니다.

    산란계가 가지는 최고의 능력을 발휘하기 위한 적정 요구량에서 약간의 과부족분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칼슘양이 적으면, 산란율이 떨어지고, 난각질에 문제가 생기며, 많이 모자라면 난소와 난관, 벼슬 등이 작아지고, 연란을 생산하게 됩니다.

    따라서 석회를 다량급여해도 닭이 스스로 조절하여 섭취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석회 다량공급에 따른 흡수장해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만, 칼슘양이 많아지면 사료섭취량과 산란율도 줄며, 난각질도 나빠집니다.

    이상은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산란계의 칼슘 요구량에 관해서 설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절기 특히 고온 다습한 여름철 혹서기에 연란(껍질이 앏은 계란)을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높은 온도로 인해 산란계가 히트 스트레스 (heat stress)를 받아 생리적으로 섭취량이 줄고 팬팅(panting) 현상을 보이게 됩니다.

    팬팅은 기온이 높아지면 발한 기능(땀샘)이 없는 닭은 체온을 내릴 목적으로 입을 열어 헐떡이게 되고, 이런 현상을 팬팅이라 합니다.

    체온을 내리기 위한 또 하나의 행동은 날개를 부풀려 날개 짓으로도 열을 방출하기도 합니다.

    사람의 경우와도 같이 비강(콧구멍)으로부터의 호흡은 공기 중의 잡균으로 불리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을 여과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팬팅을 하게 되면 코가 아닌 입으로 호흡을 하게 되어, 여과하는 기능이 줄어 감염이나 바이러스 감염 등의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또 팬팅은 혈액 중의 이산화탄소를 과잉 방출하게 되어, 혈액 중의 pH가 상승해 혈액은 알칼리성으로 기울고, 따라서 혈액 중의 이온화 한 칼슘도 감소합니다.

    이온화 한 칼슘은 난각을 형성하는 칼슘원이 되므로, 난각이 얇아지는 등의 원인이 됩니다.

    더운 시기에 사료 중의 칼슘량을 증가해도, 섭취량의 감소와 팬팅의 영향으로 난각이 얇아지는 등의 문제는 개선되지 않습니다.

    장기간의 히트 스트레스의 영향으로 산란용계에서는 산란율의 저하, 난중의 감소, 난각질의 저하 뿐 만이 아니라, 섭취량의 감소로 단백질 등의 섭취량도 줄어 흰자, 노른자의 질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성장기의 닭은 발육 부족, 발육 지연, 전체적인 섭취량의 저하 등이 일어납니다.

    수놈의 경우, 번식력 저하로 수정란의 부화율 저하 등과 같은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하절기에는 줄어드는 섭취량을 고려해서 사료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즉, 하루 섭취량이 모자라는 만큼의 영양성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고 농도의 사료를 급여가 중요합니다.

    닭의 적정온도 범위는 13~24℃ 혹은 10~30℃의 범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러 가지 시험 데이터를 분석하면 닭에 있어서 적합한 온도는 15~25℃ 정도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온도관리에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하겠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5]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