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제 목 | 알팔파 재배시 접종할 근류균 구입 | ||
---|---|---|---|
작 성 일 | 2012.10.19 | 조 회 수 | 2904 |
첨부파일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알팔파 재배를 잘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근류균 접종, 인산 및 붕소 등 시비관리의 어려움이 그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근류균을 구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과거에는 외국에서 종자가 들어올 때 종자에 근류균이 코팅되어 왔습니다만 지금은 알팔파 종자 도입량이 매우 적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근류균 접종을 하려면 알팔파가 재배되고 있는 밭의 토양을 가져와서 잘 부숙된 퇴비와 반반씩 골고루 어서 하루 정도 두었다가 첫째는 알팔파를 파종할 때 종자와 썩어서 파종을 하는 방법이 있고 둘째는 알팔파 종자는 먼저 심고 나서 알팔파를 재배하는 땅에 수분이 충분하면 흐린날 골고루 뿌려주고, 땅에 수분이 부족하면 비가 오는 날 골고루 뿌려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만약에 근류균이 있다면 액체배지에 배양을 하여 배양액에 종자를 담가두었다가 그늘에서 말리어 파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근류균을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근류균을 구할려고 한다면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미생물과(031-290-0411)로 전화해서 알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참고로 아래의 알팔파 재배기술에 대한자료를 참고하시어 알팔파를 재배하시기 바랍니다.
알팔파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작물로서 가축이 좋아하고 단백질, 칼슘, 비타민 등의 함량이 많으며 소화율이 양호하여 건초, 청예, 사일리지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최근 낙농가의 젖소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사료가치가 높은 알팔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알팔파재배는 활성화 되지 못하고 대부분 건초, 큐브, 펠렛형태의 조사료를 외국에서 수입하여 급여하고 있다. 알팔파는 환경에 대한 적응범위가 넓은 편이고 생산성이 좋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환경에서도 배수가 양호한 사료포 및 척박한 산지라도 토양개량과 적절한 시비관리 및 알팔파 근류균 접종을 하면 알팔파재배는 성공할 수 있다.
1. 알팔파 파종
가. 파종상 준비
○ 재배지는 토심이 깊고 토양유기물이 많고 배수가 양호한 토양이 유리함
○ 알맞는 산도는 pH 6.8~7.5, 인산함량이 200ppm정도의 토양이 좋음
○ 기비시용은 토양분석 후 석회요구량(약 3000kg/ha), 질소- 인산- 칼리-붕소를 80- 200-70 - 20 kg/ha 시용하는 것이 좋음
나. 종자구입
○ 현재 우리나라에서 장려품종은 루나(Luna), 버날(Vernal), 스카웃(Scout), 팀(Team), 페이서(Pacer), 파이오니아 5444(Pioneer 5444), 드럼머(Drummor)가 있으며, 많이 재배 되는 품종은 버날, 루나, 파이오니아 5444임
○ 종자구입은 최소한 파종전 6개월 전에 종자량과 품종을 축협에 신청하면 구입 가능함
다. 파종시기 및 파종량
○ 파종시기는 봄과 가을에 할 수 있으나 봄파종은 봄가뭄과 잡초발생이 심하므로 가을파종이 유리하며, 봄파종은 이른 봄에 할 수 있으나 가을파종은 일 평균기온이 5℃가 되는 날로부터 역산하여 60~80일 전에 함(중부지방 8월 하순, 남부지방 9월상순)
○ 파종량은 단파의 경우 ha당 20~30kg, 화본과 목초와 혼파의 경우는 3~4kg이 적당함
라. 파종방법
○ 일반경작지의 경우는 퇴비살포⇒ 경운⇒ 석회시용⇒ 정지작업⇒ 시비⇒ 파종⇒ 갈퀴질⇒진압
○ 산지 신규조성지의 경우는 선점식생제거⇒ 석회시용⇒ 시비⇒ 갈퀴질⇒ 파종⇒ 갈퀴질⇒ 진압
○ 파종방법은 기계에 의한 조파가 유리하나 산지와 같은 경사지나 지형이 불균일한 지역은 겉뿌림산파가 일반적이다. 파종방법에 따라 잡초발생과 수량에 차이가 있으므로 파종시 정착이 잘되게 해야 한다.
2. 알팔파 근류균 접종
가. 접종의 필요성
○ 근류균이 공기중의 불활성 질소(N2)를 암모니아태 질소(NH3-N)로 전환 ⇒ 알팔파가 질소를 이용함으로 질소비료 절감가능.
○ 알팔파가 재배된 적이 없는 지역이나 질소 고정능력이 없는 무효균이 번성한 지역은 알팔파 생육이 불량함
○ 알팔파 품종과 근류균 strain간에 적합성이 높은 것이 질소 고정효과가 높음
○ 근류균이 두과작물의 뿌리썩음병(Phytophthora megasperma)의 발생을 억제하고 토양내 독소를 파괴하여 알팔파 생장에 좋은 조건을 만들어줌으로 알팔파 영속적인 생육과 수량증대에 근류균 접종은 필수적임.
나. 근류균제 보관 및 접종방법
○ 근류균제는 농가에서 구입 후 냉장고(4℃)에 보관하는 것이 근류균의 밀도유지에 효과적임
○ 근류균은 건조와 직사광선에 약함으로 접종시 주의 해야함
○ 토양이 척박하고 산성이 강하고 건조한 경우에는 유기물이 풍부하고 습도유지가 좋은 지역보다 근류균 접종량이 많아야함
○ 근류균 접종방법은 종자접종과 종토살포가 있음 ○ 파종시에 근류균을 접종하지 못하였거나 접종을 하였으나 실패한 경우에는 알팔파 출현 후 4주 이내에 토양수분이 충분하고 흐린 날 근류균제와 토양을 혼합하여 살포하는 것이 좋음
3. 재배관리
가. 관리비료 시용
○ 질소는 시용하지 않고 인산비료는 이른 봄과 3차 수확 후 각각 ha당 75kg을 시용함
○ 칼리비료는 이른봄과 매 수확후 ha당 40~50kg을 시용함
○ 붕소는 조성후 2~3년마다 봄에 붕사로 ha당 20kg을 시용하면 붕소결핍을 예방함
○ 이용연한을 길게하고 충분한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농용석회를 2~3년마다 ha당 500~1000kg을 시용함
나. 알팔파 예취
○ 1차수확 시기는 건물수량, 영양성분 및 재생을 고려할 때 개화가 10% 정도 일 때이며 예취높이는 10 cm정도로 높게 예취하는 것이 유리함
○ 2, 3차예취는 만개기에 예취높이는 5~6cm 정도로하고 마지막 예취는 서리가 올 것으로 예상되는 날로부터 40일 전에 하는 것이 월동에 유리함
○ 예취를 너무 일찍하면 포기수가 줄어들어 이용연한이 짧아지고 너무 늦게하면 이용연한은 길어지고 수량은 많으나 목초의 질이 낮아짐으로 목초의 품질과 수량을 고려하여 결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