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자주하는질문 상세보기 표
    제 목 한우 미경산우 비육에 대하여
    작 성 일 2012.10.19 조 회 수 3130
    첨부파일

    미경산우는 거세우보다 사료 섭취능력과 이용 능력이 떨어지므로 사료를 다소 낮은 비율로 급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골격이 작기 때문에 증체량이 거세우에 미치지 못하는 점도 고려해야합니다. 우리 시험장에서 시험한 결과 비육기간은 30~36개월령까지 사육하는 것이 적절하며 30개월 비육 시 1등급 이상 출현율은 86%가량 나오지만 1+이상 등급은 거세우의 40%에 미치지 못하여 좀더 장기적으로 사육해야하는 비육특성이 있습니다. 다음은 문의하신 질의사항에 대한 답변입니다.



    1.농후사료+볏짚 이용하여 비육하는 것이 좋은지 TMR을 이용하여 비육하는 것이 좋은지?


    (답변) 비육에는 반추생리에 맞게 TMR이 좋습니다만 적절한 프로그램을 짜야하고 시판 사료도 거세우에 집중되어있어 적절한 배합 프로그램이 아직 개발된 것이 없어 다소 시행착오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일반 농가에서 TMR배합이 어려운 점이 많으므로 육성기 양질의 건초가 급여된다면 농후사료와 볏짚으로 사육해도 사료량만 잘 제어한다면 충분이 가능합니다.



    2. 방사형에서 키우다가 계류로 10개월 비육할려는데 좋은 점과 나쁜 점?


    (답변) 계류형은 육질은 약간 개선시키지만 육량이 C로 나올 확률이 높고 가축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며 또한 비육말기 과도한 비육으로 고창증이나 전위 등 대사성질환 발병이 우려되므로 방사형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3. 미경산우 비육중에 발정을 억제시키는 방법중 가장 편리한 방법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답변) 발정을 억제시키는 방안은 난소적출, 호르몬제 급여 등이 있지만 가장 좋은 것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출하 체중이나 육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 황성축협에서 선행 시험을 한 결과가 있습니다. 과도한 발정징후로 인한 사고를 막기 위하여 우방간 칸막이 문과 기둥간 사이를 사람의 손목이 안들어갈 정도로 좁혀주는 대책을 세워야합니다.



    4. 비육기간은 몇 개월 정도이며 비육사양프로그램은 어떻게 짜야 되는지, 출하 시 생체중은 대략 몇 킬로가 나오는지가 궁금합니다.


    (답변)비유기간은 30개월~36개월이 적절하며 같은 등급의 거세우 보다 경락가를 10~20%가량 더 받을수 있다고 합니다. 가장 좋은 육질로 이미 시장에서 평가 받고 있다는 거죠. 지난 2월에 발행한 암소비육 리플릿 자료를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한우 암소 비육에 대한 사전 지식


    한우 미경산우의 비육 방법


    한우 경산우 비육 방법


    암소비육우 사양 관리 유의점 및 산업동향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5]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