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제 목 | 높은 TDN 사료에 의한 한우 비육우의 간기능 저하 및 대책 | ||
---|---|---|---|
작 성 일 | 2012.10.19 | 조 회 수 | 1353 |
첨부파일 |
한우는 비육기에 근내지방도를 높이기 위하여 배합사료 위주의 사육을 하게 되는 데, 비육기의 배합사료는 TDN이 높아서 소의 반추위에서 빠르게 분해되어지고 산 생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와 같이 생산된 산을 간에서 포도당으로 전환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간이 무리를 하게 되어 간 손상이 유발됩니다.
한우 사료에서 TDN을 올리는 방법으로는 곡류와 같은 탄수화물을 많이 넣게 되는데 이 탄수화물이 주로 탄소로 구성이 되어 있어서 "탄소가 많으면 간기능이 나빠진다"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연구팀에서 한우 천두를 이용하여 부천축협 공판장에서 실험을 한 결과 비육기에 들어가게 되면 정상적인 간 기능의 두배 이상 무리가 가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육성기에 조사료를 충분히 급여하여 반추위 발달을 촉진시키고, 비육기에도 배합사료를 급여하기 전에 조사료를 먼저 급여하게 되면 타액공급으로 인하여 산도가 안정되어 반추위 손상이 덜해져서 간기능 손상이 덜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