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제 목 | 음식물 폐기물 등 부산물 퇴비 제조시 발생하는 가스의 조성 | ||
---|---|---|---|
작 성 일 | 2012.10.19 | 조 회 수 | 2007 |
첨부파일 |
퇴비화의 과정 중 배출되는 가스의 종류 및 양은 퇴비화를 위해 사용하는 원료(음식물, 분뇨, 부산물 등)에 따라 다르며 같은 원료라고 하더라도 원료를 구성하는 영양성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퇴비화 기간에 따라 배출되는 가스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가스별 배출량을 명시하여 알려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이론적으로 퇴비화 과정 중에서 사라지는 성분들의 무게를 기준으로 하여 화학식을 구성하였을 때 대부분 물과 이산화탄소로 사라지게 됩니다. 아래 문헌에 따르면 건조된 유기물(휘발성 고형분 1kg 기준)을 처리하였을 때 0.71kg의 산소를 사용하여 0.40kg의 안정된 유기물과 0.98kg의 이산화탄소(CO2), 0.33kg의 물(H2O)이 배출되게 됩니다.
소와 돼지 분뇨를 가지고 실제 시험을 한 다른 문헌의 자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의 표는 탄소(C) 성분과 질소(N)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건조된 시료에서의 배출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위의 내용에서 주의하실 점은 위 화학식은 건조된 시료를 가정하고 계산하는 것입니다.
가스 | 퇴비화 기간 | |||||
---|---|---|---|---|---|---|
A | B | C | D | E | F | |
CO2-C (%)* | 30.0 | 27.3 | 37.8 | 19.2 | 27.9 | 39.5 |
CH4-C (%)* | 2.1 | 7.7 | 6.3 | 5.4 | 2.2 | 2.5 |
NH3-N (%)** | 5.6 | 7.0 | 2.2 | 7.0 | 4.6 | 4.9 |
N2O-N (%)** | 1.9 | 0.8 | 0.3 | 0.7 | 1.6 | 1.3 |
*시료의 탄소(C) 성분 중 해당 가스로 배출되는 비율
**시료의 질소(N) 성분 중 해당 가스로 배출되는 비율
가축분뇨퇴비공장에서 악취물질 현장 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암모니아와 amine류의 경우 계분이 373·899ppm, 돈분이 275·784ppm, 혼합분이 259·810ppm의 평균 수치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ppm은 백만분의 일을 의미하므로 시료 가스에서의 암모니아와 아민류의 조성을 환산하면 계분은 0.0374%, 돈분은 0.0276%, 혼합분은 0.0260%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교반방식에 따른 퇴비화 경우 방출되는 악취물질 현장조사 결과, 암모니아와 amine류의 경우 escalator 방식이 각각 337·857ppm(0.0338%), rotary 방식이 310 ·788ppm(0.0311%), 비교반 방식이 250·760ppm(0.0251%)로 나타났습니다. 측정 위치에 따른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의 분석결과, 발효조(교반 직후)에서는 각각 130∼390ppm(0.013~0.039%), 0.3∼3.0ppm(0.00003~0.0003%)로 보고하였습니다. 따라서 암모니아와 황화수소의 배출량은 미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