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제 목 | 건초(조사료, 헤일리지, 사일리지) 등의 사료에 대한 안전성 검사 | ||
---|---|---|---|
작 성 일 | 2012.10.22 | 조 회 수 | 1858 |
첨부파일 |
○ 질문 1. 항생·항균물질 : 항생·항균물질이면 이로운 성분으로 좋은사료를 평가하는 지표 등으로 사용되기 위해 검사하는 항목인지요?
- 좋은 사료란 기본적으로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먹이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좋은 사료도 가축의 건강상태가 온전하지 못하다면 소용이 없기 때문에, 가축이 갖고 있는 질병에 대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하여 항생 또는 항균물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생·항균물질의 많고 적음만으로는 좋은 사료의 지표로 사용하기 위한 검사항목이 될 수 없습니다.
○ 질문 2. 일반 미생물 : 대장균군/유산균수/일반세균/진균수 : 건초 사료 등에는 흔하게 나올 것 같은 데 검사가 필요한 다른 이유가 있는 지요?
- 건초의 경우, 건조 상태가 좋다면 미생물 생육여건이 열악하기 때문에 언급하신 세균들의 수는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저장 및 유통단계에서 수분 함량이 증가하게 되면 이들 세균수가 급증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상기 세균수의 검사와 곰팡이 독소의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질문 3. 곰팡이 독소 : 아플라톡신 B1 외 타 곰팡이 및 곰팡이 독소는 소가 먹어도 괜찮은 지요?
- 곰팡이 독소는 곡류의 재배·수확과정 및 운반·저장과정 등에서 발생되며, 알려진 종류만 300여종이 넘습니다. 그러나 가축 등에 피해를 주요 곰팡이 독소는 10여 가지 정도가 알려져 있습니다.
- 법적으로는 농림수산식품부 고시 제2010-142호 "유해사료의 범위와기준"에서 아플라톡신류 4종, 오클라톡신 1종에 대하여 허용기준을 정해놓고 있습니다(별표 1 참고).
- 소에서는 반추위 미생물에 의하여 곰팡이 독소가 분해되기 때문에 다른 가축에 비하여 곰팡이 독소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지만, 드물게 일부 곰팡이 독소에 의한 피해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 사료 중 곰팡이 독소 수준이 높다는 것은 품질 측면에서 열악한 경우가 많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오염된 사료를 그대로 급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 질문 4. 살모넬라/대장균 등이 검출되면 해당 사료는 폐기해야 하는지요?
- 유해미생물이 가축의 건강에 유해성을 띠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사료 내 유해미생물 오염수준에 따라서는 열처리, 혐기발효, 유기산 처리 등의 추가 가공 과정을 거쳐 소독후 급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살모넬라/대장균이 이상 증식된 사료라면 유해균 외에도 다른 위험요소들을 갖고 있을 소지가 높으므로,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료내 유해물질의 범위 및 허용기준
1. 관리대상 중금속 및 곰팡이독소
유해물질명 | 사 료 의 종 류 | 허용기준 | |
---|---|---|---|
비 소 | 배합사료 | 프리믹스사료 | 12ppm |
어류용 배합사료 | 10ppm | ||
기타 배합사료 | 2ppm | ||
단미사료 | 광물성(식염류를 제외한다), 혼합류 | 40ppm | |
불 소 | 배합사료 | 고기소용 | 100ppm |
젖소용 | 50ppm | ||
돼지용 | 150ppm | ||
닭용 | 300ppm | ||
프리믹스사료 | 1,800ppm | ||
단미사료 | 다량광물질류 및 미량광물질류, 혼합류 | 1,800ppm | |
인산염류 및 칼슘염류 | 인 함량의1/100 이하 | ||
크 롬 | 배합사료 | 전체 배합사료(프리믹스사료를 제외한다) | 100ppm |
단미사료 | 동물성 단백질류 |
어분 및 어즙흡착사료 | 100ppm |
우모분·육분·육골분 및 동물성단백질 혼합물 | 300ppm | ||
피혁가공부산물 | 1,000ppm | ||
동물성무기물, 혼합류 | 100ppm | ||
납 | 배합사료 | 프리믹스사료 | 30ppm |
기타 배합사료 | 10ppm | ||
단미사료 | 동물성단백질류 | 10ppm | |
알팔파, 건초 | 10ppm | ||
곡물류, 식물성단백질류, 남은음식물사료, 면실 | 20ppm | ||
동물성무기물류, 광물성(식염류는 제외한다), 혼합류 | 30ppm | ||
수 은 | 배합사료 | 프리믹스사료 | 0.5ppm |
기타 배합사료 | 0.4ppm | ||
단미사료 | 동물성단백질류 및 무기물류, 광물성(식염류를 제외한다), 곡물류, 식물성단백질류, 남은음식물사료, 면실, 혼합류 | 0.5ppm | |
알팔파, 건초 | 0.4ppm | ||
카드뮴 | 배합사료 | 프리믹스사료 | 50ppm |
기타 배합사료(기타동물·어류용은 제외한다) | 1.0ppm | ||
단미사료 | 곡물류, 식물성단백질류, 어분(배합사료 원료용은 제외한다), 남은음식물사료, 면실 | 2.5ppm | |
광물성(식염류는 제외한다), 혼합류 | 50ppm | ||
아플라톡신 B1, B2, G1, G2 |
배합사료 | 어린송아지 및 어린병아리용, 젖먹이·젖뗀돼지용, 육계전기용, 비유젖소용 | 10ppb |
기타 배합사료(프리믹스사료를 제외한다) | 20ppb | ||
단미사료 | 식물성단백질류, 곡물류, 곡물부산물, 남은음식물사료, 면실, 혼합류 | 50ppb | |
셀레늄 | 배합사료 | 전체 배합사료(프리믹스사료를 제외한다) | 2ppm |
단미사료 | 혼합류 | 2ppm | |
오클라톡신A | 배합사료 | 전체 배합사료(프리믹스사료는 제외) | 200ppb |
단미사료 | 곡물류, 곡물부산물류 | 200pp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