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제 목 | 교배계획 길라잡이 프로그램 운영 및 계산방식에 대한 질의 | ||
---|---|---|---|
작 성 일 | 2012.10.22 | 조 회 수 | 3337 |
첨부파일 |
교배계획 길라잡이 책자와 프로그램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그램과 책자 모두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능력과 근교계수를 계산합니다. 하나씩 설명드리자면
1. 어미와 태어날 자손의 유전능력
○ 계산원리
- 국가단위 한우 유전능력평가에 의해 계산된 씨수소(KPN)의 능력을 이용
- 자손의 능력은 아비와 어미 능력합의 절반(자손은 아비와 어미에게서 유전자를 절반씩 나눠 받기 때문)
○ 농가에서 어미의 혈통(암소의 아비)을 알고 있을때 외할머니의 능력은 모르므로 0으로 가정하고, 교배할 씨수소의 능력을 합해서 절반을 해주게 되면 내가 가진 암소의 능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내가 가진 암소의 능력을 아셨죠? 그럼 이제 이 암소의 능력을 이용해서 자손의 능력을 예측해보죠.
○ 암소의 능력을 예측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합니다. 교배할 씨수소(수정할 정액)의 능력과 계산된 암소의 능력을 더하여 다시 절반해주면 태어날 자손의 능력이 되는 것이죠.
○ 정말 간단하게 내가 가진 소들의 능력을 알 수 있죠? 하지만, 이렇게 추정한 개체의 능력들은 정확도가 40~45%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보다 정확한(70%이상) 개체의 능력을 예측하고 싶으시다면 농가에서도 직접 능력검정을 하시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2. 근교계수
○ 근친교배는 혈연적으로 가까운 개체들끼리의 교배를 말하는 것이고, 근친교배의 효과는 개체가 아비와 어미로부터 똑같은 유전자를 전달받았을 때 생깁니다.
○ 아비와 어미에게서 전달받은 유전자가 좋은 유전자면 상관이 없지만 나쁜 유전자의 경우 문제가 되는 것이죠. 그래서 혈연적으로 가까우면 당연히 나쁜 유전자가 한곳에 모일 확률도 높아지겠죠. 이것이 근친교배를 피하는 이유입니다.
○ 근친계수 구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B와 C가 서로 이복형제(둘 다 A의 자식)고, B와 C의 공통조상인 A가 m이라는 나쁜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죠. A라는 조상은 자식을 낳을 때 유전자의 절반을 자식에게 물려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때 A가 B에게 m이라는 유전자를 줄 확률이 1/2이 되는 것이죠. 다시 A가 C에게 m이라는 유전자를 줄 확률도 마찬가지로 1/2이 됩니다. 자 이제 자식 B와 C 모두 m이라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죠. 이상태에서 B와 C가 결혼해서 D에게 유전자를 전달해 준다고 하면 둘 다 D에게 m이라는 유전자를 전달해 줄 확률은 1/2이 됩니다. 결국 D는 A라는 조상이 가지고 있는 m이라는 유전자를 2개 가지게 되어 나쁜 유전자의 영향을 받게 되죠.
○ 이렇게 A라는 조상과 관련된 개체들이 m이라는 유전자를 가질 확률을 모두 곱한 것(1/2×1/2×1/2×1/2)의 2배를 하면 D라는 개체의 근교계수가 됩니다. 다시 말해 이복동생간에 태어난 자손의 근친도는 0.125, D라는 개체가 A라는 개체의 유전자를 둘 다 가지게 될 확률이 12.5%라는 것이죠.
○ 실제 근교계수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n = 아비에서 공통선조까지의 세대수
n' = 어미에서 공통선조까지의 세대수
FA= 공통선조의 근교계수
Σ = 공통선조가 여럿일 경우 이를 모두 합한다는 뜻
○ 위와 같이 어려운 식을 조금 간단하게 푸는 방식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오누이끼리 교배를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면 X의 근교계수는 공통조상 C에 대해 구한 값 (1/2)1+1+1(1+FC)=(1/2)3(1+0)=1/8과 공통조상 D에 대해 구한 값 (1/2)1+1+1(1+FD)=(1/2)3(1+0)=1/8을 더하면 1/8+1/8=1/4=0.25가 된다.
![]() |
개체 X의 부(A)와 모(B)의 조상 중에 동일한 개체가 있는 지를 살펴보면 C와 D가 있다. 각 조상에 대해 아비와 어미로부터 공통조상에 이르는 세대수를 계산한다. 공통조상C A → C : n = 1, B → C : n' = 1, FC= 0 공통조상D A → D : n = 1, B → D : n' = 1, FD= 0 |
○ 다음은 몇 가지 예에 대한 근교계수입니다.
전형매간 교배 (동복 형제간 교배) | 반형매간 교배 (이복 형제간 교배) | 아비와 딸간 교배 |
---|---|---|
![]() C× DC× D ↓ ↓ A × B ↓ X |
![]() C× D C× E ↓ ↓ A × B ↓ X |
![]() C× D ↓ A × C ↓ X |
근교계수=0.25 (25.0%) | 근교계수=0.125(12.5%) | 근교계수=0.25 (25.0%) |
사촌간 교배 | 사촌간 교배(이복) | 2세대에 걸친 전형매 교배 |
---|---|---|
![]() G× HG× H ↓ ↓ C × D E × F ↓ ↓ A × B ↓ X |
![]() G× H G× I ↓ ↓ C × D E × F ↓ ↓ A × B ↓ X |
![]() E× FE× F E× F E× F ↓ ↓ ↓ ↓ C× DC× D ↓ ↓ A × B ↓ X |
근교계수=0.0625(6.25%) | 근교계수=0.0313(3.1%) | 근교계수=0.375(3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