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제 목 | 초유의 정의 및 초유뗀 젖소의 성장 | ||
---|---|---|---|
작 성 일 | 2012.10.22 | 조 회 수 | 1874 |
첨부파일 |
초유뗀 젖소에 관련하여 문의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초유란 일반적으로 어미소의 분만 후 4일 동안의 분비되는 젖을 말하며, 농가에서의 초유떼기 송아지는 3~7일령된 송아지를 가리킵니다.
○ 초유떼기 단계의 체중 및 체격에 대한 자료가 많지 않은 실정으로 국외에서 발표된 성적 및 2007한국사양표준 젖소편에 제시된 성적으로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송아지의 체성장은 포유방법에 따라, 스타터(송아지의 첫 입질사료)의 종류와 섭취수준에 따라서 많이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송아지의 활동반경에 대한 질문의 요지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없는데요. 농가에서의 일반적인 사용방법상 작은 상자나 좁은 칸막이 안에서 키우니, 행동반경의 기준이 생길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낙농과에서 개발한 수유로봇 사육시스템(넓고 쾌적한 휴직공간과 급여장소의 제공)에서는 송아지가 넓은 공간(15m×20m)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초유뗀 젖소(암,수)의 월령별 체고, 체장, 체중 등 체성장에 대한 자료>
1. 2007 한국사양표준 젖소편
구분 | 성별 | 체중(kg) | 흉위(cm) | 체고(cm) |
---|---|---|---|---|
생시 | ♀ | 42.1 | 73.7 | 73.7 |
♂ | 47 |
2. 송아지(암수 평균)의 5일령∼49일령(7주)까지의 포유방법에 따른 체중
구분 | 체중(kg) |
---|---|
생시 | 44.6 |
이유시(50일) | 65.0 |
※ 참고문헌 : Pre- and Postweaning Performance of Holstein Female Calves Fed Milk Through Step-Down and Conventional Methods(J. Dairy Sci. 2007)
3. 수송아지의 5일령∼49일령(7주)까지의 포유방법에 따른 체격성장
구분 | 관행포유 | 이유스트레스 최소화 감량포유법 | |
---|---|---|---|
체중(kg) | 개시시 | 42.13 | 44.78 |
종료시 | 65.0 | 79.11 | |
체장(㎝) | 개시시 | 61.56 | 62.8 |
종료시 | 77.48 | 84.11 | |
흉위(㎝) | 개시시 | 68.56 | 70.25 |
종료시 | 86.66 | 95.22 | |
복부둘레(㎝) | 개시시 | 68.56 | 70.11 |
종료시 | 93.01 | 102.31 | |
엉덩이 높이(㎝) | 개시시 | 68.84 | 69.56 |
종료시 | 83.36 | 94.52 | |
어깨 높이(㎝) | 개시시 | 65.20 | 66.32 |
종료시 | 80.41 | 89.23 |
※ 참고문헌 :Structural Growth, Rumen Development, and Metabolic and Immune Responses of Holstein Male Calves Fed Milk Through Step-Down and Conventional Methods(J. Dairy Sci.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