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자주하는질문 상세보기 표
    제 목 친환경축산이란
    작 성 일 2012.10.22 조 회 수 1728
    첨부파일

    친환경축산은 축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나아갈 방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친환경축산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수질·토양·대기오염을 방지하여 환경을 보전
    - 물질의 자원순환 등을 활용하여 자연 생태계를 유지·보전
    - 동물복지 등을 통한 자연치유력의 회복 등으로 가축의 건강한 상태를 유지
    - 주변 자연과의 조화로 농촌의 경관을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재생산을 가능

    일반 축산에서 친환경축산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환경보전, 자원순환, 가축건강, 경관보전 및 경영관리 5가지 항목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1. 환경보전
    대기오염 방지(악취, 분진, 온실가스), 토양오염 방지(가축분뇨의 자원화에 다른 토양오염), 수질오염 방지(가축분뇨 처리 및 축사에서의 분뇨 누출)에 대한 규정을 준수해야 함

    2. 자원순환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자원화하여 농지에 환원해야 하며, 가축분뇨처리시설의 설치기준 및 액비의 살포기준을 준수해야 함 또한 퇴,액비의 품질은 관련 규정을 준수하고 농경지 확보 및 토양관리 내역 등을 기록하여야 함

    3. 가축건강
    사육밀도와 사료급여는 무항생제 축산물 인증기준을 준수하고, 동물복지를 고려해야 하며, 가축전염병예방법 등을 준수해야 함

    4. 경관보전
    축사와 주변의 양호한 경관을 유지하기 위해 가꾸고 청결상태를 유지해야하며, 축사 내 건물 및 경제선 등에 이격거리를 두어야 함

    5. 경영관리
    가축관리에 필요한 기록들을 작성, 유지하고 관련 교육 및 훈련을 이수해야 함

    친환경축산의 정의와 일반 축산에서 친환경축산으로의 전환을 위한 내용을 간략하게 말씀드렸는데 이와 관련하여 2008년에 발간된 『친환경축산 표준모델』책자를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5]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