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원에서 제공하는 자주하는질문(FAQ)입니다.
제 목 | 사료작물(옥수수)의 사일리지 조제방법 | ||
---|---|---|---|
작 성 일 | 2012.10.24 | 조 회 수 | 8480 |
첨부파일 |
파종하신 옥수수는 6월이 되면 옥수수에 추비를 주어야 하는 시기가 됩니다. 옥수수는 다비성 작물이어서 질소질 비료를 꼭 나누어 주셔야 합니다. 옥수수가 무릎 높이에 도달한 시기가 추비의 적기입니다.
○ 우리나라 사람들은 겨울철 채소를 먹기 위해 김장을 합니다. 마찬가지로 가축들도 겨울철에 풀사료를 먹이기 위해 김장을 담습니다. 가축을 위한 김장은 사일리지(Silage)라고 합니다. 사일리지는 발효과정이 김치와 똑같습니다. 따라서 김장을 잘 담그듯이 만드시면 됩니다.
○ 사일리지는 유산균이 많이 자라서 유산을 생성하면 그 유산이 내부의 산도를 높여 다른 부패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좋은 사일리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유산발효가 잘 일어나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문제는 유산균이 자라기 위해서는 공기가 없어야 합니다. 공기(산소)가 있으면 유산균은 자라지 못합니다. 따라서 사일리지의 기본은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 옥수수 사일리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김장독에 해당하는 사일로가 있어야 합니다.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나 시설이 없다면 땅을 파서 묻을 수도 있습니다. 사일로에 옥수수를 잘게 잘라서 채우고 트랙터나 포크레인으로 눌러서 다진 후 비닐로 윗부분을 밀봉한 후 흙으로 덮어두면 약 60일후에 사일리지가 완성이 됩니다. 자세한 방법은 참고자료를 참조하십시오.
○ 1,000평이면 약 20톤 정도의 옥수수가 생산될 것입니다. 구덩이를 파실 때 양을 추정해서 만드시면 됩니다.
<참고자료>
고품질 사료작물 사일리지 조제 기술
가. 사일리지 조제기술
1) 충분한 수분함량
사일리지의 발효 미생물은 생장을 위하여 수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적절한 수분은 재료의 충진을 용이하게 하고 그로 인하여 재료중의 공기를 배출하기 쉽게 해준다. 따라서 사일리지 발효를 위해서는 작물이 적정한 수분함량을 유지해야 한다.
표 4. 작물별 수분함량 및 수확적기 (축산연, 1994)
작 물 | 수분함량(%) | 수확적기 |
---|---|---|
옥수수 수수류 호 밀 보 리 유 채 이탈리안 |
68~70 70~75 67~72 67~70 80~84 68~72 |
황숙기 출수기~개화기 개화기~유숙기 황숙기 개화기 출수기~개화기 |
2) 숙기
일반적으로 작물은 생육시기(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수량은 증가하지만 사료가치가 저하되므로 최대수량과 최고의 품질을 이룰 수 있는 시점에서 수확을 해야 한다. 옥수수의 경우는 황숙기로 옥수수 종실을 손톱으로 눌러 딱딱하게 느껴질 때가 황숙기이다. 때로는 밀크라인을 관찰하여 종실의 1/3~2/3지점에 도달되는 시기로 판단을 하거나 옥수수 파종 후 70~80일이 지나면 수염이 나오는데 수염이 50%나온 날로부터 35~42일경이 되면 황숙기에 도달하게 된다.
표 5. 옥수수 사일리지의 수확시기별 영양소 함량 (단위 : %)
숙기별 | 조단백질 | 조지방 | 조섬유 | thN | thN지수 |
---|---|---|---|---|---|
유숙기 호숙기 황숙기 완숙기 |
9.49 7.97 9.72 8.71 |
3.51 3.11 3.57 2.64 |
32.04 30.75 32.02 31.94 |
56.02 53.44 65.52 58.36 |
86 82 100 89 |
* 한국 표준 사료 성분표(축산기술연구소)
옥수수 수확기(3∼4조식) 옥수수 사일리지 수확
사일리지 조제를 위한 수확기 및 작업전경
3) 절단
절단으로 인하여 사일리지는 표면적이 확대되어 미생물이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을 넓힐 수 있고, 충진이 균일해지며 사이로내의 산소를 줄여주며 반추위내 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보통 1.0cm내외로 절단하며 수분함량이 낮을 경우는 짧게 절단해준다.
4) 충진, 진압
충진은 가능한한 빨리 하도록하며 트랙터나 포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진압을 한다. 진압은 공기를 배제시켜 유산균의 증식을 촉진시키며, 즙액의 삼출을 촉진하고 용적을 줄이는데 있다. 특히 벽면은 진압밀도가 낮아질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진압이 끝난후에는 사일로의 윗부분을 보온덮게와 비닐로 덮어주며 흙이나 폐타이어 등을 이용하여 가압하도록 한다.
포크레인에 의한 진압 페타이어를 이용한 가압
진압 및 가압 전경
표 6. 진압밀도에 따른 사일리지의 품질변화(임, 1992)
진압밀도 (㎏/㎥) |
건물함량 (%) |
건물손실 (g/kg) |
NDF (%) |
ADF (%) |
암모니아태 질소(%) |
---|---|---|---|---|---|
400 500 600 700 |
26.1 25.4 26.4 26.7 |
84 89 70 66 |
54.0 51.4 49.6 47.7 |
30.5 28.8 27.5 26.6 |
6.5 6.5 6.5 5.7 |
나. 사이로의 종류
사일리지를 저장할 수 있는 사일로의 종류는 형태에 따라 탑형, 트렌치, 벙커, 비닐백, 스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벙커 및 트렌치 사일로
대용량에 적합하며 농가가 보유한 작업기계로 쉽게 충진 및 급여가 가능하여 운반에 드는 에너지가 적게 든다.
2) 탑형 사일로
건축시 공간이 적게 들며 노출되는 표면적이 적으나 충진과 급여시 기계화가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스택 사일로
비용이 저렴한 저장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표면적이 넓어 저장중의 건물 손실율이 30~35%에 이를 수 있다
4) 비닐백 사이로
가변적인 사일리지 저장 체계로 추가로 생산된 양 만큼 비닐백을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탑형사이로 트렌치 사이로
스택 사이로 원형곤포 사일리지
사이로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