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축종별100문100답(젖소) 글 상세입니다.
    제 목 난소낭종의 원인과 증상 및 예방은
    작 성 일 2023.06.21 조 회 수 339
    첨부파일

    Ⅳ. 질병-12. 난소낭종의 원인과 증상 및 예방은.pdf (594KB) ( 다운횟수 161 )     다운로드     바로보기

    난소낭종은 젖소에 이상 발정과 무발정을 유발하여 젖소의 임신을 저하시키는 주요 번식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난소낭종은 난포낭종과 황체낭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난포낭종은 난소에서 난포가 성숙난포의 크기를 초과하여 발육하면서 난포가 배란되지 않은 것으로 직장검사 시 난소의 크기가 2.5cm 이상 커져 있으며, 젖소에서 긴 발정시간과 강한 발정 증상을 유도합니다.

    황체낭종은 난포낭종과 유사하게 난포가 배란되지 않고 난소의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커져있지만, 난소의 내벽이 황체 조직화 되어 있습니다. 임상증상은 발정증상 없는 무발정이 지속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난포낭종과 황체낭종을 임상적으로 감별하는데 곤란한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난포낭종은 좌우 양쪽의 난소에 다발성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황체낭종은 단발성일 때가 많습니다. 또한 난포낭종의 난포벽은 얇으면서 풍선에 물이 차있는 느낌이 강한 반면, 황체낭종은 난포낭종 때의 난포벽보다 두꺼우며 손으로 만져지는 느낌도 난포낭종 보다는 딱딱한 편인데, 이는 황체낭종의 벽에는 황체 조직층이 존재하므로 좀 더 두껍게 됩니다. 낭종액은 난포낭종이 담황색을 띄는 투명한 색깔인데 비해 황체낭종의 경우는 호박색이나 갈색을 나타냅니다. 발생 빈도는 난포낭종이 황체낭종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난포낭종의 치료는 임부태반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nRH), 황체호르몬(LH) 등을 투여하며, 황체낭종의 치료는 황체퇴행 호르몬(PGF2α) 등을 투여하고 있습니다.

    난소낭종은 불균형한 사양관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우군에 빈번히 문제가 될 경우에는 단순한 약물 치료보다는 장기적으로 농장에서의 사양관리 프로그램의 재검토가 필요합니다.


    (가축질병방역과 / 063-238-7233)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술지원과[063-238-720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