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농가 가축사육현장의 분야별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우리원에서 발간한 축종(한우, 젖소, 돼지, 닭, 조사료, 말)별 백문백답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굽관리를 정기적으로 해주는 것이 발굽 질환을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파행을 관찰할 수 있는 전문가는 일반인보다 약 2.5배는 더 파행을 잘 찾아 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소의 파행이 쉽게 관찰되지 않아 그대로 방치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파행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전까지는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가 상태가 심각해진 후에야 치료를 하게 되어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발굽 질환은 오랜 시간 동안 꾸준히 진행되어 오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이를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는 1년에 2회 정기적으로 발굽 삭제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발굽이 길지 않으면 삭제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데 발굽의 길이에 상관없이 다양한 발굽 질환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이를 미리 확인하고 조치를 취해주는 것이 발굽 삭제의 또 다른 이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늦은 봄과 늦은 가을에 2회 발굽 삭제를 해주는 것이 일반적이고, 만약 모든 우군에 실시할 수 없다고 하면 적어도 분만 전의 개체들은 꼭 실시해주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분만 전후로 발굽 질환이 많이 발생하는데 분만 전에 미리 확인하고 대처한다면 발병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발굽 삭제는 반드시 발굽의 해부학적인 구조를 잘 아는 수의사를 통해서 실시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잘 알지 못하는 비숙련가가 실시할 경우에는 과도한 삭제나 삭제 시 무게 지지 부위(weightbearing surface) 형성이 잘못되어서 자칫 잘못하면 파행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발굽 질환을 가진 개체의 질병에 대해 이해가 부족한 경우 이를 적절하게 치료하지 못해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문 수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현장에서 일어나는 가장 잘못된 치료 방법 중에 하나가 감염성과 비감염성의 구분 없이 발굽 질환을 치료하는 점입니다. 발굽 질환의 대부분의 치료는 전신적 항생제가 필요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주사용 항생제를 남용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착유우의 경우에는 이런 불필요한 항생제의 사용으로 착유를 할 수 없게 되는데 이는 축산농가의 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축질병방역과 / 063-238-7233)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