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의 건강관리 기본적인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운동
						
			
			
				 
				건강관리에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칼로리 소모를 유도하는 운동이나 산책입니다.
 초반에 너무 무리하게 운동을 하게 되면 강아지가 거부감을 일으키거나, 
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가볍게 산책을 시작으로 서서히 운동량을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사량 조절
						
			
				 
				식이조절은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간식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염분이 많은 음식이나 사람이 먹는 음식을 주셨다면 이 또한 끊어주어야 합니다.
			 
			
			
			수의사 상담
						
			
				 
				강아지의 건강진단부터 식단 조절까지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수의사 상담을 먼저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의 건강상태를 확인 후, 무리한 식단조절이 아닌 적절한 영양공급과
 운동으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무분별한 번식과 질병 예방을 위한 중성화도 필요합니다.
			 
			
			 
			
			
			
			
				반려견 수명(연령표)
				반려견의 평균 수명은 12년입니다. 하지만 견종에 따른 편차가 있으며 대체적으로 크기가 작은 반려견들의 수명이 큰 강아지에 비해 짧습니다.
반려견의 나이와 사람나이를 대략적으로 비교하여 살펴보겠습니다.
				
					기준, 반려견, 사람을 기준으로 표출하는 반려견 수명(연령표)의 표입니다.
					
					
						
							| 기준 | 반려견 | 사람 | 
					
					
						
							| 수유기 | 20일 | 0세 | 
						
							| 1세 | 
						
							| 유아기 | 30일 | 2세 | 
						
							| 60일 | 3세 | 
						
							| 소년기 | 80일 | 4세 | 
						
							| 100일 | 5세 | 
						
							| 청년기 | 200일 | 10세 | 
						
							| 300일 | 15세 | 
						
							| 1년 | 18세 | 
						
							| 1.5년 | 20세 | 
						
							| 2년 | 22세 | 
						
							| 3년 | 26세 | 
						
							| 4년 | 30세 | 
						
							| 5년 | 34세 | 
						
							| 장년기 | 6년 | 38세 | 
						
							| 7년 | 42세 | 
						
							| 8년 | 46세 | 
						
							| 9년 | 50세 | 
						
							| 노년기 | 10년 | 54세 | 
						
							| 11년 | 58세 | 
						
							| 12년 | 62세 | 
						
							| 13년 | 66세 | 
						
							| 14년 | 70세 | 
						
							| 15년 | 74세 |